[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국립대구박물관(관장 김규동)은 “국립대구박물관 소장품조사연구10, 직금(織金)저고리의 복원과 16세기 복식문화”를 발간하였다.
박물관은 모든 관람객이 한국의 다채로운 복식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복식 문화재의 복원사업을 꾸준히 진행해왔다. 이번에 발간하는 소장품조사연구서 “직금(織金)저고리의 복원과 16세기 복식문화”는 용인 영덕동 무연고묘 출토복식 중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진행했던 구름과 새무늬 직금[雲鳥紋織金] 저고리의 복원을 마무리 짓는 결과물이다. 구름과 새무늬 직금[雲鳥紋織金] 저고리는 얇은 금사를 넣어 짠 직물로 만든 것으로 16세기의 섬세하고 뛰어난 복식·직물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재이다. 이번 연구서는 2023년에 개최했던 학술 심포지엄 이후 수정 보완된 연구자들의 성과를 담았다.
무덤의 출토복식은 묘주가 생전에 착용했던 옷을 관 속에 넣은 것으로, 조선시대 전 시기에 걸쳐서 발굴되고 있다. 그러나 15~16세기 조선 초기는 절대 기준으로 삼을 만한 명확한 연대의 복식이 많지 않다. 용인 영덕동 무연고묘 출토복식은 이런 점에서 조선 초기 복식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용인 영덕동 무연고묘에서는 52점의 복식과 18점의 명기(明器)가 발견되었고, 보존처리 완료 후 2013년부터 국립대구박물관에 소장되었다. 이후 국립대구박물관은 출토복식의 가치와 연구성과를 널리 공유하기 위해 전시와 연구 사업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이번 연구서는 구름과 새무늬 직금[雲鳥紋織金] 저고리를 복원하는 전 과정과 16세기 복식의 특징과 상세한 설명을 담았다. ‘용인 영덕동 무연고묘 출토 복식의 개요’ , ‘16세기 조선의 복식문화와 묘제’ , ‘용인 영덕동 직금 저고리의 복원과 분석’ 의 세 개 주제로 구성했다. 각 주제에 따라 연구 논고 8편을 함께 수록하였다.
국립대구박물관 민보라 학예연구사의 ‘용인 영덕동 무연고묘 출토복식의 현황’ 과 ‘용인 영덕동 무연고묘 출토복식의 구성과 연대 추정’ , 국립중앙박물관 박승원 학예연구사의 ‘용인 영덕동 무연고 묘 출토복식에 사용된 직물의 종류와 특징’ , 충북대학교 사학과 김영관 교수의 ‘조선의 회곽묘(灰槨墓)와 중국 명(明)의 요장묘(澆漿墓) 비교’ , 서울여자대학교 패션산업과 송미경 교수의 ‘16세기 저고리의 특징과 복식문화’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의 심연옥 교수의 ‘한국 직금 직물의 제직과 활용’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박기찬의 ‘직금 직물의 제직과 복원’ , 연우전통침선연구소 안인실과 이민정 연구원의 ‘직금 저고리의 복원과 구성’ 등이다.
이 중 ‘용인 영덕동 직금 저고리의 복원과 분석’은 2년 간의 복원 과정과 직금에 대한 연구로 조선 초기인 16세기의 복식문화와 전통 복식 구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향후 복식 문화재의 복원에 필요한 중요한 경험이 될 것이다. 또한 조선시대 여성 복식 연구를 위한 자료 확보뿐만 아니라, 당시의 사회문화적 환경을 이해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보고서는 국립대구박물관 누리집의 일반자료실을 통해 누구나 쉽게 ‘내려받기’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복원된 직금 저고리는 국립대구박물관 복식문화실에서 만나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