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창희 칼럼】 저출산의 근본원인은 ‘식구’의 개념이 소멸돼 가는 데 있다

2024.01.30 10:58:43

최근 한국가정의 위기가 심각하다. 식사를 같이 하는 ‘식구’의 개념이 사라지니 가족, 가정의 중요성도 사라져 간다. 가정이 서서히 소멸되어 가고 있다. 저출산의 근본 원인이 바로 여기에 있다.


식구(食口)는 ‘밥을 같이 먹는 사람’, 가족이란 뜻이다. ‘한솥 밥을 먹는 식사 공동체’다. 그래서 남에게 자기 아내를 ‘우리 식구’라고 소개한다.


한 집에 살아도 함께 밥을 먹지 않거나, 식사할 기회조차 없으면 엄밀히 말해 ‘동거인’이지 ‘식구’가 아니다. 


고된 이민 생활속에서도 6남매를 모두 미국 예일대와 하버드대에 보내, 미국 최고 엘리트로 키운 전혜성 여사가 생각난다. 그녀는 자녀 교육의 비결을 묻는 질문에 “무슨 일이 있어도 아침식사는 가족이 함께 했다”며 ‘밥상머리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인성교육은 밥상머리 대화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가정에서 인성교육이 사라지니 사회 분위기도 바뀌었다. 인간 본연의 정은 사라지고 돈과 실리로 모든 것을 판단한다. 각박한 세상이 되고 말았다. 


요즘 우리 생활을 들여다 보면 ‘식구’가 얼굴을 맞대고 대화할 수 있는 자리가 거의 없다. 같이 식사할 기회조차도 없다. 


아침에는 빵 한조각에 우유 한잔 마시고 허둥지둥 나가기 바쁘다. 저녁 귀가시간도 서로 달라서 함께 식사는 커녕, 언제 귀가했는지도 모르고 각자 방에서 잠자기에 바쁘다. 이런 일상의 연속이니 ‘밥상머리 대화’는 고사하고, ‘식구’고 ‘동거인’이고 며칠간 얼굴을 못 볼 때도 허다하다.


1970년대만 해도 대부분의 가정에서 늦게 귀가하는 ‘식구’를 위해 아랫목에 담요를 깔고 밥을 묻어 두곤 했다. 


밥의 온도는 곧 사랑의 온도다. 가족이 아무리 늦게 들어와도 주부는 뜨끈한 국과 따뜻한 밥을 챙겨 주었다.


요즘은 맞벌이 부부가 대부분이다. 그러다보니 뜨끈한 국과 따뜻한 밥을 챙겨 준다는 것은 부부간에 서로가 상상하기 어렵다. 부인이 맞벌이를 하지 않아도 남편이 밤늦게 들어와 밥달라고하면 이 시간까지 밥도 못 먹고 뭐했냐고 핀잔주기 일쑤다. 


부부가 함께 식사하는 것은 휴일 정도 뿐이다. ‘식구’가 아니라 ‘동거인’에 불과하다. ‘밥상머리 대화’가 거의 없다. 남편이 그야말로 ‘남의 편’이다. 신세대는 골치 아프게 결혼 왜 하냐며 혼자 살고 싶단다. 결혼 연령이 차차 늦어지더니 이제는 아예 혼자 사는 독거 청년이 늘어나고 있다.


옛날에는 가족이 가장(家長)의 위압적인 언사 때문에 가족들이 상처를 받는다고 했다. 요즘은 가장의 권위는 고사하고 가장의 존재 여부가 불투명할 정도로 ‘식구’와 가정의 개념이 무너져 내렸다. 특히 은퇴하거나 퇴직후 일자리를 잃은 가장의 경우는 가정 내 천덕꾸러기 신세다. 이처럼 우리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는 ‘식구의 개념’이 사라지고 가정이 무너져내려 가는 데 있다.  


그런데 이에 대해 심각성을 인식하고 대책을 논의하는 정치인이나 공직자들을 찾아보기 힘들다. 사회적 문제의식도 별로 없다. ‘저출산이 심각하다’며 요란만 떤다. 정부는 출산비 지급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출산비 벌려고 애낳는가?


‘식구’, 가정이 소멸되어 가면 아이는 짐이 된다. 아이가 짐이 되니 아이를 낳을 수가 없다. 유아원, 유치원도 모자라 태어나면서부터 번호표를 받고 기다린다.


한마디로 우리 사회의 종합적인 문제가 저출산으로 표출됐는데 정부는 양육과 교육의 근본대책이 아닌 출산비 몇 푼 주며 눈감고 아웅식이다.


‘식구’들이 빙둘러 앉아 함께 식사하던 그 시절이 새삼 정겹게 느껴진다. ‘식구’와 가정을 복원시켜 ‘밥상머리 대화’를 통해 인성교육도 하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나가면 저절로 저출산 문제는 해결되지 않을까.

 

<편집자 주 : 외부 칼럼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글쓴이=한창희

 

 

 

 

 

 

 

 

 

 

 

 

충주중, 청주고교
고대 정치외교학(석사)
고려대 총학생회 회장
충북 충주시장(민선4,5대)
한국농어촌공사 감사

한창희 choongjuhan@naver.com
Copyright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민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