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순의 아트&컬처] 몽환적 상상력의 거장 권옥연, 탄생 100주년 기념전

2023.12.08 16:30:40

현대화랑 《권옥연 100주년 기념전》, 오는 12월 16일까지
‘권옥연 그레이’, 풍부한 질감의 인물, 풍경화 20점
딸 재불화가 권이나 작가, 오프닝 전시서 인사

 

 

- 작가의 생애  -

 

권옥연 화백은 1923년 함경남도 함흥에서 출생했다.

어린시절 조부로부터는 서예를, 바이올리니스트였던 아버지에게는 음악을 배우며 성장했다.

아버지와 같은 음악가가 되길 꿈꾸던 소년은 경성 제2고등보통학교(현 경복중고등학교)에 입학하며 미술을 시작했다. 학생 시절 제20회 《조선미술전람회》(1941)에서 수상하며 미술계에 존재를 드러냈다. 

 

1942년 일본 도쿄 제국미술학교(현 무사시노 미술대학)에 입학해 서양화를 전공한 그는 한국에 돌아온 뒤 해방과 전쟁을 겪으면서도 예술에 대한 열정으로 작품 활동에 매진한 결과,

1949년 제1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입선, 1953년 제5회 대한미술협회전에서 문교부 장관상, 1956년 제5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특선을 수상하는 등 작가로서 입지를 다져 나갔다. 

 

 

절제된 청회색의 풍성한 질감 아래 구상과  추상을 넘나들며 자신만의 화풍을 정립했던 권옥연(1923-2011). 인간의 감정 그 근원적인 부분에 와닿을 듯한 몽환적 상상력의 연금술사 권옥연이 탄생 100주년을 맞았다 


현대화랑이 한국 근현대미술의 거장 권옥연(1923-2011)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 《권옥연 100주년 기념전》을 11월 15일부터 12월 16일까지 열고 있다. 


전시장에서는 아슴프레한 미명의 회색톤 ‘권옥연 그레이’로 은은한 감성적 여운을 머금은 특유의 회색빛 인물과 풍경들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권옥연 화백은 특정 사조나 단체 활동에 참여하지 않고, 독특한 톤과 색채 등 특유의 화풍을 이룩해 내며 독자적인 미술 세계를 펼친 한국 근현대 미술계를 대표하는 작가이다. 


이번 전시에는 파리에서 화가로 활동하는 딸 권이나 작가가 내한해 부친의 100주년 기념전을 한동안 지켰다가 출국했다. 

 

 

전시 오픈 직후 갤러리에서 만난 권이나 작가는 “아버님이 살아계셨다면 얼마나 기뻐하셨을까요. 그때 그 시절이 너무 그리워요”라고 추억에 젖었다. 아울러 전시장 2층에서 상영되는 생전의 부친의 디지털 아카이빙 비디오와 작품들에서 눈길을 떼지 못했다. 

 

 

권옥연 화백의 아내는 한국 연극계의 1세대 대표 무대미술가 이병복(1927~2017). 부부가 함께 파리에서 유학하며 각자의 영역에서 대가로 또 멋쟁이 예술가 커플로 생전 유명했다. 

 

 

권이나 작가가 전시작 중 최애 작품으로 꼽은 작품은 <부인의 초상>(1951). 권옥연 화백이 당시 20대 후반의 아내를 그린 이 작품은 강한 인상에 붉은 티셔츠, 검은 머리를 길게 늘어트린 여인의 도도한 자태가 6.25 전쟁의 아픔과 폐허 속에서도 강한 생명이 기운을 보여준다.권이나 작가는 그림 속 젊은 시절의 어머니 초상화를 쓰다듬으며 부모님에 대한 추억에 잠기는 모습이었다. 또 권옥연 화백이 프랑스 유학 중 창작의 고통과 번민 등을 예술로 승화시킨 듯한 <절규〉(1957)도 눈길을 끈다. 이 작품은 프랑스 유학 당시 시인이자 초현실주의 주창자였던 앙드레 브르통(André Breton, 1896-1966)에게 ‘동양적 쉬르레알리즘(초현실주의, Surrealism)’이라고 호평받은 작품. 작가의 변화된 조형 의식을 보여준다. 그외 권옥연 화백이 파리 유학 시절 그린 <몽마르트 거리 풍경>(1957), <소녀>, 〈달맞이 꽃〉(1986), 〈귀향〉(1999) 등 회색 풍경 이전의 1950년대 초반 작품부터 작고 직전인 1990년대까지의 주요 작품 20여 점이 걸려있다. 권 화백의 작품은 시대에 따라 구상에서 추상으로 변화하고, 풍경화와 인물화, 정물화를 두루 그렸지만, 초기 회화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청회색 색조와 암시적인 사물의 묘사는 평생 일관되게 나타났다.

 

 

 

권이나 작가에 따르면 권옥연 화백은 생전에 “한결같은 중후함과 삶의 진정성을 잃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에 “난 아직 부족해”라며 늘 사색했던 음유시인이자 낭만 화가의 대명사이기도 했다. 


권옥연 화백의 그림은 회색 톤임에도 창백하거나 차갑지 않고, 오히려 은은한 감성적 미열의 여운처럼 따뜻한 위로를 전한다. 권옥연 회색 미학의 출발은 프랑스 파리였다. 권옥연 화백은 1957년 35세 되던 해에 아내와 함께 파리 유학길에 오른다. 자녀들을 부모님께 맡기고 떠난 당시로서는 쉽지 않은 행보였다. 


그 시절 유럽에서는 2차세계대전의 상흔을 표출해낸 추상주의 운동인 ‘앵포르멜(Informel)’이 유행이었다. 권 화백 역시 한국전쟁을 경험했기에 유학 초기엔 앵포르멜의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기존의 모더니즘 미학을 극단적으로 부정하며 앵포르멜을 추구했던 유럽 작가들의 감성까지 닮을 수는 없었기에, 자신만의 고유한 자각의 독립된 조형적 의식을 찾아 나서기 시작했다. 


고분 벽화나 민속적 요소, 할아버지에게 배웠던 한자 습자의 경험 등 떠나온 고향에 대한 기억들은 권옥연만의 조형성 기반을 다지는데 좋은 길라잡이였다. 이러한 자신만의 시도를 ‘정적인 앵포르멜’로 여겼다.  특히, 인간 내면에 숨겨진 환상적 욕망을 시각적으로 잘 드러낸 권옥연 화백은 파리 체류 시절 프랑스의 시인이자 초현실주의 주창자였던 앙드레 브르통에게도 깊은 인상을 전해줬다. 앙드레 브르통은 1960년 파리에서 열린 《제9회 쉬르레알리즘전》에 권 화백을 초청하기도 했다. 권 화백은 브르통과의 만남이 그의 인생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자 사건이었다고 회고했다. 

 

 

1960년대 프랑스에서 서울로 귀국한 권 화백이 선보인 작품들은 당시 자생적으로 한국적 앵포르멜 운동을 전개하던 국내의 청년 작가들에게도 신선한 자극제가 된다. 또한, 1970년대 <우화>나 <탈(전설)>, 1980년대 <옛이야기>와 <달맞이꽃> 등은 한국적인 정서의 신화와 설화의 이미지로 출발했지만, 문학적 상상력까지 더해진 그만의 주제 의식이 돋보인다. 1990년대 이후에도 <무제> 혹은 <귀향>처럼 은유적이고 시적인 한편의 문학작품을 함축해놓은 듯한 지속적인 화풍은 이어진다. 또 <소녀>나 <여인> 시리즈의 인물들은 정적이고 차분한 분위기로 다소 신비로운 내적 美를 드러낸다. 한평생 예술의 멋과 풍류 속에 살았던 작가는 향토적 소재주의, 목가적 서정주의, 절제된 색감과 화면구성, 상상과 무의식의 초현실적 조화를 이룬 작품 세계를 표현하고자 했다(도움말 김윤섭 미술사 박사).


김미정 미술평론가는 “권옥연은 평생 에콜 드 파리의 정서가 물씬 풍기는 그림을 그린 미술가는 많지 않다. 토속적 소재를 다루더라도 그 효과는 늘 이국적이었다”면서 “권옥연이 평생 집착했던 여인상은, 아시아라는 지역의 미술가가 쉽게 성취할 수 없었던 중심을 향한 욕망의 기호였다고 할수 있다”고 평했다. 


한편 미술평론가 유준상(1932-2018)은 권옥연을 ‘비구상적 표현주의 작가’로 칭하며 ‘허무적이고 신비적인 관념적 영원성을 지녔다’고 평했다. ‘그의 신비성은 마치 꿈 속의 비현실적인 세계에서 비교적(秘敎的)인 허무화를 지향했다’고 평한바 있다. 또 인간을 비극적이고 고뇌의 생명으로 보고 있으며 실존주의적인 네오로맨시스트라고 썼다(한국현대미술대표작가 100인선집, 권옥연. 금성출판사). 


<사진 = 현대화랑, 이화순>

이화순Ph.D(칼럼니스트) artvision21@gmail.com
Copyright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민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