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수·매도 일단 지켜보자"…서울 집값 '숨 고르기' 들어가나

2021.10.10 21:55:37

 

아파트값 2주 연속 0.19% 올라…상승세 다소 '주춤'
매수-매도자 눈치싸움 치열…"호가는 그대로 유지"
보유세 부담 강화·금리 인상 예고…거래 절벽 '계속'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거래 자체가 없어요."

 

지난 8일 서울 동작구 흑석동 흑석한강푸르지오 단지 내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매수 문의는 꾸준한데, 매수자와 매도자 간 가격 격차가 커서 거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집을 팔기도, 사기도 부담스러운 상황에서 호가가 떨어지길 기다리는 매수자와 버티기에 들어간 매도자간 눈치싸움이 치열하다"며 "그렇다고 해서 호가가 조정을 받지 않는다"고 전했다.

 

서울 주택시장이 일정 호가 이하로 팔지 않겠다는 집주인과 집값이 하락하면 매수에 나서겠다는 매수자간 눈치싸움이 본격화하면서 '숨 고르기' 양상을 보이고 있다. 세금과 대출 규제에 이어 추가 금리 인상까지 예고되면서 관망세가 짙어진 모양새다.

 

특히 서울 집값의 바로미터인 강남권 아파트값 상승 폭이 전주 대비 축소하면서 일각에선 서울 집값이 숨 고르기 이후 조정 국면으로 전환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매물 부족에 따른 수급 불균형 장기화와 풍부한 유동자금 등 집값을 자극할 상승 요인이 여전한 만큼 예단하기는 이르다는 지적이다.

 

서울 아파트값은 2주 연속 동일한 상승 폭을 유지했다.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값 동향에 따르면, 이달 첫째 주(4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0.19% 올라 전주와 동일한 상승세를 기록했다. 서울은 지난달 셋째주까지 8주 연속 0.2%대의 상승률을 기록하다, 지난주 0.19%로 상승 폭이 축소됐다.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상승 폭을 축소했다. 강남구(0.25%)는 압구정·역삼동 인기 단지 위주로, 서초구(0.23%)는 방배·반포동 주요단지 위주로, 송파구(0.22%)는 잠실·장지동 위주로, 강동구(0.18%)는 명일·고덕동 등 위주로 상승했으나, 신고가 대비 하락한 거래도 일부 발생하며 강남4구 전체 상승폭이 소폭 축소됐다.

 

강북권에서는 노원구(0.26%)는 재건축 기대감 있는 상계동 대단지와 공릉동 위주로, 마포구(0.24%)는 주요단지의 신고가 거래 영향으로, 용산구(0.24%)는 리모델링 기대감 있는 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금리인상 및 한도 축소 영향으로 매수심리 다소 위축되며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일부 단지에서는 신고가 경신이 나오는가 하면, 일부 단지에서는 기존 시세보다 낮은 가격에 매매 계약이 체결되는 등 혼조세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전용면적 76㎡)는 지난달 12일 24억원에 신고가를 경신한 뒤 같은 달 19일 27억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반면, 노원구 상계동 상계주공7차(전용면적 45.9㎡)는 이달 12일 5억5000만원에 거래되면서 직전 거래(1월27일) 6억2000만원보다 7000만원 하락했다.

 

주택시장에선 단기간에 집값이 조정 국면으로 전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게 중론이다. 집값 안정을 위해 공공주택 공급을 강조한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신뢰도가 하락했기 때문이다. 정부가 내년도 서울 아파트 공급 물량을 당초 5만 가구로 전망했다가 최근 3만6000가구로 30% 가까이 줄었다. 여기에 주택 공급을 늘리기 위해 3기 신도시 등 공공주택 공급을 확대하고 있으나, 실제 공급까지 최소 4~5년이 걸리는 만큼 당장 공급 확대를 체감하기 어렵다.

 

여기에 다주택자에 대한 보유세와 양도세 중과 시점인 지난 6월1일을 전후로 매물이 줄어든 것도 한몫하고 있다.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하루 평균 매물은 3만6949건으로 집계됐다. 전달(3만8958)에 이어 두 달 연속 4만 건을 밑돌았다.

 

아울러 하반기에 신규 공급 물량이 줄어든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입주 예정인 서울 아파트는 1만3023가구다. 이는 2019년 하반기(2만3989가구), 2020년 하반기(2만2786가구)와 비교하면 1만 가구 이상 감소한 물량이다.

 

전문가들은 단기간에 서울 집값이 하락세로 돌아서긴 힘들 것으로 내다봤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세금 강화와 대출 규제가 본격화되고, 기준 금리 인상 추가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전반적으로 부동산 매수 시장에 대한 심리적 다소 위축됐다"면서도 "여전히 집값 상승 요인들이 많아 단기간에 집값이 조정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권 교수는 "만성적인 수급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주택 수요가 있는 지역에 적절한 공급이 필요하나, 정부의 거듭된 규제 대책으로 오히려 공급이 축소되면서 집값 상승이 장기화하는 부작용이 지속되고 있다"며 "일부 거래만으로 집값 조정 국면을 예단하는 건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홍경의 tkhong1@hanmail.net
Copyright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민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