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적 상상력으로 종교에 대한 철학 풀어낸 <블랙아웃: 인베이젼 어스>

2020.08.03 17:00:33

 

 

 

 

 

가까운 미래 어느 날, 전 세계와의 통신이 두절된 모스크바에서 비상사태가 선포된다. 지구 전체가 암흑에 빠져 통신 일체가 마비된 것. 군대를 파견해 상황을 살피지만, 도시 밖으로 나간 군인들은 연이어 실종된다.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제작진이 합류한 SF물이다. 

 


신선한 소재와 ‘떡밥’들


색다른 비주얼과 스케일을 자랑하는 러시아 블록버스터다. 세련된 액션과 독특한 설정들로 이루어진 인상적 장면들이 적지 않으며, 특히, 끊임없이 몰려오는 군중들과의 후반부 전투 장면은 압도적이다. SF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종교에 대한 철학을 풀어낸 점 또한 매력적이다. 좀비 떼 같은 군중들의 폭주와 무차별적 자살폭탄 행위는 종교에 세뇌되고 노예화된 인간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갑자기 전원이 나가고 생명마저 꺼져버린 지구. 승객과 승무원이 동시에 기절하며 비행기가 추락하는가 하면, 대형 불곰 떼들이 군대를 덮친다. ‘꺼짐’에서 제외된, 지구에서 극히 일부를 차지하는 이 도시의 대중들 사이에서는 종말론이 등장하고, 종교적 행렬과 폭력적 시위로 흉흉해진다. 통신이 마비된 인근 도시로 파견된 군인들은 사라진 사람들이 일상생활을 하던 흔적과 바닥에 쓰러져 죽은 시체만 확인할 뿐, 원인은 찾지 못한 채 그곳에서 실종된다. 마비된 도시의 경계에 있던 몇몇 사람들에게는 여러 파편화된 이미지들이 머릿속에서 펼쳐지는 이상 현상이 생긴다. 군은 이들에게서 실마리를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하지만, 해독할 방법을 못 찾는다. 그러던 중, 군이 보호하던 한 초능력자에게 누군가 찾아와 알 수 없는 이야기를 한다. 


전반부는 이처럼 다양한 사건을 통해 미스테리한 풍경을 묘사하고, 이 상황을 만든 ‘존재’에 대한 궁금증을 높이도록 구성돼 있다. 익숙한 SF적 설정들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분명 신선한 소재와 ‘떡밥’들이 적지 않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사건의 실체가 드러나기 전까지 영화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는 전반부는 지루하고 난해하다. 

 


스토리텔링의 치명적 한계


<블랙아웃: 인베이젼 어스>는 이야기를 하는 방법이 얼마나 중요지 생각하게 한다. 도입부에 캐릭터를 설명하고, 과학적 지식 없는 대중이 알기 쉽게 현상을 ‘보여주는’ 영화 문법이 진부하지만 왜 보편화됐는지도 새삼 느낄 수 있다. 이 영화는 고전적 플롯과는 다른 방식으로 이야기를 전달하는데, 그 다른 방식이 특정 목적을 가진 것은 아니다. 

 

 

 


 

일단 시점이 산만하다. 주요 캐릭터가 누구인지 파악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만큼 캐릭터 설명이 부실하다. 그나마 나중에서야 구축된 인물들도 성격이나 배경을 공들여 쌓지 않아서 인물들을 통해 감정이입 하는 방식이 아니다. 이는 인물들의 시점으로 사건이 전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락한 비행기 내부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관객은 알지만, 영화 속에서는 미스터리다. 실종된 군인들이 체험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관객과 캐릭터의 정보가 차이나는 전개가 쌓이다 보니 스크린 안 인물들이 느끼는 혼란과 스크린 밖 관객이 느끼는 혼란에는 간극이 생기고 그야말로 혼란해진다. 캐릭터가 없고 사건만 있는 스토리텔링이 어떤 문제를 낳는지 잘 보여주는 영화라고 할 수 있다. 


 대사를 통한 설명이나 전개가 많은 것도 문제다. 배경 지식을 시각적으로 전달하려는 제작진의 고민이 부족하다. 스토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나 사건들을 다룰 때도 영화적 강조 기법이 무시되는 경우가 많아서 관객이 집중하지 않으면 엉뚱하게 난해한 영화가 된다. 불필요한 장면이 많고 정작 중요한 장면도 그 불필요한 장면들과 같은 분위기로 지나가다 보니 관객이 얻는 정보가 산만해지기 쉽다. 가뜩이나 SF 특유의 작은 모순들 때문에 설득력이 떨어지는데 디테일마저 관객을 지치게 만드는 것이다. 


 영화가 그나마 정리되는 시점은 문제의 ‘존재’가 등장하고부터다. 지금까지 던져준 정보를 그의 입을 통해 설명해주기 때문이다. 그 시점에서 관객은 머릿속에서 그동안의 정보와 사건을 재구성해서 스토리를 정리할 수 있다. 문제는 궁극적으로 모순이 해결되고 설득력이 얻게 되는 차원은 아니라는 것이다. 


 스토리텔링의 이 같은 치명적 한계들로 완성도가 떨어지는 영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F에 흔한 모순들에 관대한 관객이라면, 허술한 시나리오의 공백을 상상력으로 재구성하는 능력에 탁월한 관객이라면 이 영화는 매력적일 수 있다. 몇몇 장면에서 강렬한 인상을 주는 미덕을 가지고 있으며, 후반부는 대체로 풍부한 볼거리와 통쾌한 액션으로 전반부의 지루함을 보상해주기 때문이다. 인간 적들을 대량 학살하는 장면은 그중에서도 압권이다. 


영화 속 등장인물들이 인명을 숫자로 생각하고 인류를 생명보다 관념으로 접근하는 ‘신’에게 항의하는 장면이 나오지만, 정작 이 영화는 폭력을 시원한 액션으로만 표현한다는 점은 아이러니다. 어쨌든 감독은 전쟁 장면을 현란한 볼거리로 연출하는데 재능을 드러낸다. 비록 수박 겉핥기 수준이지만, 세계관과 철학에서도 눈길을 끈다. 어떤 면에서 수작이면서 또 어떤 면에서는 졸작인, 괴상하고도 매력적인 영화다.  

 

 

 

정춘옥 sisa-news@naver.com
Copyright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민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