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인문학] '학교 입지'로 학내 분위기 알 수 있다

2018.05.09 13:27:39


[시사뉴스 정승안 교수] 개화기에는 수많은 선교사들이 한국사회에 안착한다. 이들이 한국사회에 뿌리내리는 방식은 학교를 건립하는 것이었다. 학교 교육을 통해 ‘계몽(啓蒙)’이라는 이름으로 자연스럽게 훈육의 기반을 확보하고 자리 잡았다. 대부분의 선교사들이 선택한 입지는 미국이나 유럽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부드럽고 완만한 능선을 낀 평지지역을 선호하였다. 자신들이 자라며 보았던 서구적인 공간관념이 자연스럽게 반영된 결과라고 봐야할 것이다.


풍수의 ‘지배 사회학’의 논리

오늘날 100여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대부분의 학교들은 선교사들의 시선과 눈으로 선택된 곳들이 많다. 또 다른 학교들은 일본제국주의가 지배하는 동안에 영구집권을 꿈꾸며 자신들의 자녀들을 교육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건립한 학교들이다. 이들 학교설립과정에서는 풍수적 고려를 하지 않았던 경우를 찾아보기가 더 어렵다.


식민지배의 공고화를 위한 인력양성이 목적이었던 ‘경성제국대학’이나 지역의 이름난 중고교들은 단 하나의 예외 없이 풍수적 고려위에 자리 잡았다. 교지선정과정에서의 풍수적 입지선정은 필수적인 과정이었던 셈이다. 결과적으로 제국주의자들의 자녀들의 교육과 우호적인 친일파들을 재생산하기 위한 지배전략으로 터 잡기의 기술들이 기능했다는 사실은 회피하기 어려운 셈이다. 이에 저항하며 세워진 민족학교들은 규모도 적었을 뿐만 아니라 설립과 유지조차도 힘들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렇다면 풍수적 입지가 친일파를 만드는 데 기여했다는 말일까? 물론 이에 대한 인과관계는 성립하지 않는다. 하지만 풍수를 지배의 정치사회학으로 활용한 사람들이 많았다는 사실과 안정적 지배와 통치의 공고화를 위한 무기로 풍수의 원리가 활용되었다는 논리적 가설은 충분히 성립될 수 있다.


환경적 요인 VS. 교육적 요인... 무엇이 결정타?

풍수지리의 관점에서는 지형이나 환경적인 입지선정의 요소들은 동기감응(同氣感應)의 원리에 의하여 그곳에 머무르는 사람들에게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이해한다. 특히 시지각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지형과 지세와 상응(相應)하는 사회적 기질들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품이나 사회적 성격과 같은 인성의 형성과정에도 풍수적인 요소가 반영된다는 논리이다.


이러한 전통적인 풍수의 원리를 이해하면, 출신고교에 따라 동문회의 운영방식이나 사교하는 방법, 졸업생들의 분위기나 기질적 성향들이 다르게 느껴지는 것이 ‘동기감응의 방식의 차이에 따른 집합의식의 차별적 형성과정’ 때문이라는 주장에 공감할 수 있게 된다.


결국 풍수 사회학적 관점에서는 소위 말하는 ‘학벌’과 ‘지연’ 또는 ‘사회적 성격’이 형성되는 과정에도 이러한 지리 환경적 요소와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활동들이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한 산물로서 이해되고 있다. 생득적 요소와 환경적 요인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강조는 사회화와 교육의 중요성에 비해서 폄하될 수 없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과 풍수 활용
교육을 대하는 기본적인 관점에서 ‘수월성’교육과 ‘평등성’교육 간의 확연한 태도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우월한 지위에서 소위 이름난 명문고로 평가받는 학교들의 경우에는 대부분 ‘수월성’교육을 선호한다. 명문대 진학률과 뛰어난 인재들에만 집중하는 엘리트(Elite)주의적인 방식에 대한 선호가 지배적인 흐름을 차지하고 있다. 문제는 지역에서의 이른바 명문고와 명문대로 이어지는 엘리트들은 그러한 전통의 계승을 통한 두터운 선배라는 인맥의 연결망과도 자연스럽게 결합된다. 그 결과 지역사회의 권력지형에도 두드러진 영향력을 지니게 된다는 점이다.


최근까지도 이러한 엘리트주의와 지역연고의 연결망, 학맥 그리고 연줄 망이 지배적인 영향을 미쳐왔던 방식들이다. 결국 이러한 ‘살아남는 것’이 아름다우며, ‘강한 것이 진리’라고 주장하는 엘리트주의가 현대사회를 움직이는 주된 원리로서의 신자유주의의 논리체계와도 그대로 부합하고 있는 것이다.


풍수적인 논리에서는 자의적인 의미부여나 가치체계의 주입이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물과 바람의 흐름과 친일파는 상관관계가 있지는 않겠지만, 지배적인 성향이나 관계망의 형식은 영향받는다. 해당지역의 물의 흐름이나 산봉우리의 모양, 건물이 바라보는 주된 봉우리(案山) 그리고 건물이 앉아있는 방위(좌향)이나 교문의 위치 등은 그 학교의 면학분위기나 학생들의 심리 그리고 진로와 같은 생애주기의 주된 흐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학교에 다니는 3년의 시간은 지역연고와 연줄 망과 학맥의 형성과정을 통해 해당 학교들의 풍수지형의 맥락들과 상응하는 방식으로 내재화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세계최고의 대학생을 지니고 있다. 대학생의 비율이 90%에 육박할 정도로 교육열이 높다. 물론 저출산 고령화와 대학진학률 감소 또는 청년실업과 관련한 다양한 문제점들에 대한 지적들이 높아가고 있다. 대학을 중시하는 문화적 태도들이 땀 흘리는 노동의 소중함보다는 선비를 중심으로 하는 노동천시의 폐해라는 지적도 가능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교육열은 출세 지향적이며 타자지향적인 퍼스낼리티가 주된 사회의 모습이기도 하다. 그러나 드러난 표상의 이면에서 공간을 대하는 관점과 입지선정이 이러한 사회적 성향을 형성하는데 나름대로의 배경이 된다는 사실을 회피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풍수에 맞는 건물배치로 인재양성에도 활용할 수 있어야
최근 들어 45년 정도가 평균인(15(변화의 완성수)년×3(三才)=45년) 학교의 건물들이 변화를 겪고 있다. 건립당시에는 변두리였으나 중심지로 변화했거나 지가 상승률을 고려한 재단이나 동문의 노력으로 투자전략의 변화를 겪거나 새로운 교사를 지어서 옮기게 되는 것이 뚜렷한 경향이다. 그러나 학교를 이전해 간 경우에서 이전의 명문고를 유지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거꾸로 새로운 신진학교가 두각을 나타낸 경우도 많다. 대부분은 풍수적인 환경과 지형의 영향력과의 관련성속에서 그 변화를 읽어낼 수 있다.


근대성의 형성시기에 비록 일제 강점기의 시기에 주로 만들어졌던 학교들이라도 풍수적인 고려를 통해 출입구와 건물배치, 앞산 봉우리(안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배치되던 학교입지들이 오늘날의 현대사회에서는 오직 규모와 시설 만에 주목하는 효율의 설계로 대체되면서 전통적인 풍수배치를 무력화시키고 있다. 이전의 명문고들이 그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는 대부분 명당의 요건을 구성하고 있던 곳에서 이전을 한 경우이거나, 기존의 교사를 압도하는 새로운 건물을 무분별하게 지으면서 파괴된 풍수적 미의식의 균형이 파괴되었기 때문임을 쉽게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핵심적인 위치에 있던 학교들이 팔리고 그 자리에는 아파트가 들어서고 있다. 풍수적으로 조화로운 곳에 학교가 있을 때에는 학문과 명분에 대한 사회적 지향과 열풍이 강조되었다면, 그 자리를 차지한 아파트에서는 자신들의 삶과 가족의 가치를 최고로 하는 중산층의 열풍이 일어난다. 풍수적 상관관계가 뚜렷하게 반영되고 있는 셈이다.

정승안 교수 sovong@nate.com
Copyright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민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