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3 (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고창 13.0℃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3.7℃
  • 맑음강진군 14.8℃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경제

안갯속 세계경제에 금값 급등…올해 15% 상승

URL복사

[시사뉴스 강철규 기자]올해 투자자들의 금에 대한 사랑이 식을 줄을 모르고 있다. 아메리칸 메릴린치은행에 따르면 지난 11주 동안 무려 134억 달러(약 15조6780억 원)의 돈이 금에 투자됐다. 2009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많은 돈이 금으로 몰리고 있다.

CNN머니는 25일(현지시간) 올해 들어 금값이 15%나 상승하면서 온스당 1221달러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CNN머니는 캐피털 이코노믹스(Capital Economics)를 인용해 올해 금값이 추가로 10% 이상 올라 온스당 1350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내놓았다.

금은 인플레이션 시기에 사들이는 안전자산이다. 인플레이션 조짐이 보이면 금을 사들이고, 디플레이션 시기엔 현금을 확보하는 게 투자의 정석이었다. 그러나 세계 경제가 침체조짐을 보이고 있는 요즘 금이 인플레이션 상황 못지 않게 각광을 받고 있다.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을 가리지 않고 경기불안에 대한 헤지(위험분산) 수단으로서 금에 대한 투자가 몰리고 있는 것이다.

최근들어 미국 경제가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 기름 값도 제 자리를 찾아가고, 다우존스종합지수는 지난 2월11일 저점을 기준으로 2000포인트나 올랐다.

경제 불안 요인들이 많이 수그러들었는데도 투자자들은 여전히 금을 사들이고 있다. 바클레이즈 은행의 분석가인 케빈 노리시는 “(투자자들은) 여전히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두려워하고 있다. 앞으로 고약한 깜짝 변수들이 나타날 것을 우려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투자자들이 가장 불안해하는 변수는 미 연방준비제도(Eed, 연준)에 의한 금리인상이다. 또 다른 변수는 유럽과 일본 등 세계 주요국가의 중앙은행들이 마이너스 금리와 연관된 새로운 실험이다. 마이너스 금리가 앞으로 어떤 결과를 낳을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투자자들의 마음속에 잠복해 있는 것이다.

이번 주 뱅크 오브 아메리카(Bank of America)는 금 선호 심리를 부추기는 새로운 분석을 내놓았다. 바로 스태그플레이션의 가능성을 제기한 것이다. 경기침체와 높은 실업율에 인플레이션까지 겹치는 최악의 상황이 바로 스태그플레이션이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당장 스태그플레이션이 눈앞에 닥친 것은 아니지만 그 위험성이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예술을 통해 배우고 연결되다... '서울문화예술교육주간'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송형종)은 오는 18일(화)부터 22일(토)까지 한 주간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5개 권역별 센터에서 ‘2025 서울문화예술교육주간’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예술, 또 다른 세상을 잇다’를 주제로 예술교육 전문가, 예술가, 시민이 한자리에 모여 예술을 통해 배우고 연결되는 다양한 경험을 나누는 자리다. 올해 서울문화예술교육주간은 권역별 문화예술교육 센터들의 대표적인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확산하고, 서울 전역의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것에 중점을 뒀다. 행사 주간 동안에는 5개 권역별 센터에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상설 체험 프로그램과 장르별 특성을 담은 총 37개의 예술교육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펼쳐질 예정이다. 특히 시설 개선 공사를 마치고 오는 18일(화)부터 운영을 재개하는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서초에서는 이번 행사 주간을 위한 특별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그동안 5개 권역별 센터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던 21개의 대표적인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이현우 교수의 ‘셰익스피어 이야기’ △서의철x박다울의 ‘거문고 이야기’ △김찬용 도슨트의 ‘한번쯤은 서양미술사: 입체주의부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스포트라이트 받는 주인공 뒤에 숨은 조력자를 기억하자
지난 14일 서울 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한국과 파라과이의 축구 평가전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선수는 단연 오현규였다. 그는 후반 30분 승리에 쐐기를 박는 결정적인 골을 넣으며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그러나 그 골의 배후에는 수비수 두 명을 제치는 현란한 드리블 후 냉정히 경기의 흐름을 읽고 찬스를 만들어낸 또 다른 주인공이 있었다. 바로 이강인이다. 그는 전방으로 빠르게 침투한 오현규에게 정확한 타이밍의 패스를 연결해 골의 90%를 만들어 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경기가 끝난 후 조명은 오직 골을 넣은 선수에게만 쏟아졌고, 이강인의 이름은 짤막이 언급되었다. 지난 21일 한국프로야구 2025 플레이오프 한화 대 삼성의 3차전에서 한화가 5대4로 역전승을 거둔 뒤, 단연 승리의 주역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선수는 구원투수로 나와 4이닝 무실점으로 역투한 문동주였다. 그런데 사실 한화가 역전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상대적으로 어린 문동주를 노련한 투수 리드로 이끌어간 최재훈 포수가 있었기 때문이다. 경기가 끝난 후 역투한 문동주와 역전 투런 홈런을 친 노시환만 승리의 주역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고 최재훈의 이름은 언급조차 없다. 이러한 장면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