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러시아는 전쟁을 원하고 있고, 그것은 사실"이라며 표결권과 거부권 등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의 모든 권리를 박탈해 줄 것을 호소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진행된 제77차 유엔총회 일반토의 화상연설에서 "그들은 (표면적으론)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하면서도 부분적인 군 동원령을 발표했다"며 이렇게 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의 이날 유엔총회 연설은 예비역 가운데 30만 명을 추가 징집할 수 있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부분 동원령 발표 연설 몇 시간 뒤에 이뤄졌다. 러시아가 예비군 동원령을 발동한 것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70여 년만에 처음이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나는 취임 직후부터 2월24일까지 전쟁을 막기 위해 다양한 형식의 88차례 회담을 가졌다"면서 "하지만 러시아는 올해 전면 침공을 감행했고, 우리는 스스로 방어하는 것 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고 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침략자의 처벌을 위해 국제기구의 의사결정 당사자인 상황과 절연해야 한다"며 "적어도 공격이 지속되는 한 침략을 정당화하는 그들이(러시아가) 보유한 안보리 상임이사국 권리를 박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침략국인 러시아가 세계 평화와 안전보장 문제를 논의하는 안보리 상임이사국 일원으로 각종 의결권과 거부권을 갖고 있는 것이 유엔 정신에 맞지 않다는 것이다. 유엔의 전쟁 중단 논의에 러시아가 거부권을 행사하지 못하도록 권리를 박탈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앞서 러시아는 전쟁 중단을 촉구하는 유엔 안보리 차원의 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한 바 있다. 이에 유엔은 지난 3월 본회의를 열어 러시아 침공 규탄과 즉각 철군을 요구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결의안을 통과시킨 바 있다.
당시 결의안은 181개국이 표결에 참여해 141개국 찬성으로 통과됐다. 러시아·시리아·벨라루스·북한 등 5개국은 반대표를 던졌고, 중국·인도·이란 등 35개국은 기권했다. 이와 별개로 지난 4월 유엔은 특별총회에서 러시아의 유엔인권이사회(UNHRC) 이사국 자격 정지 결의안을 의결처리했다.
출고일자 2022. 09. 22
associate_pic3
[뉴욕(미국)=AP/뉴시스]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77차 유엔총회 일반토의 세션에서 화상연설을 하고 있다. 2022.09.21.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쟁 종식과 우크라이나의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5가지를 제시했다. ▲러시아 군의 철군 ▲침략에 대한 처벌 ▲우크라이나의 안전 보장 ▲우크라이나 영토 보전과 회복 등이다. 5가지 조건이 선행되지 않는 한 종전 협상에 나설 수 없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그러면서 젤렌스키 대통령은 "5가지 조건 입증이 가능한 빨리 실행돼야 한다"면서 "우리는 평화를 위한 준비가 돼 있다. 우리는 정직하고 공정한 평화를 원한다. 국제사회가 우리 편인 이유"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지움·부차 등에서 자행된 러시아 군의 민간인 학살 의혹을 거론하며 전쟁범죄를 다룰 특별재판소 설치와 배상금 지급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또 에너지를 무기화 하는 러시아를 막기 위해 석유와 천연가스를 포함한 러시아산 에너지 가격 상한제 도입을 촉구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젤렌스키 대통령은 세계 정상들 가운데 유일하게 화상으로 연설했다. 일반토의 참석 정상들은 대면 참석이 원칙이지만 전쟁 중인 상황을 고려해 예외를 인정받았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화상으로 진행된 지난해 76차 유엔총회에서 러시아가 2014년 강제 합병한 우크라이나의 크름반도를 언급하면서 유엔을 "은퇴한 수퍼 히어로"로 빗대며 아무 조치도 하지 않는 것을 비난하는 연설을 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