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공정 중국의 문맹률 낮춰

2003.11.30 00:11:11









장만옥이 한 의상발표회에 참석해 T-셔츠 경매로 20만 위안 '희망공정'에 기부하고 있다.

중국의 문맹인구수는 무려 2억명으로 추산된다. 이는 전세계 문맹인 중 4분의 1이 중국인이고, 중국인 6명 중 한 명이 문맹인임을 나타내는
수치다. 많은 인구 만큼이나 높은 문맹율을 가지고 있는 중국을 장기적인 안목으로 본다면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교육은 국가의 미래와
다름없으며, 경제가 아무리 발전한다 해도 국민의 소양이 따라주지 않는다면 진정한 선진국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중국의 평균 교육정도는 5.51년



중국의 인구는 14억이다.(실제로는 훨씬 더 넘을거라 중국인들도 얘기한다) 인구가 이렇게 많다 보니, 학생 수 또한 적을 리가 없다.
1인당 평균 교육비용은 약 11.2달러밖에 안돼 전세계의 끝에서 두 번째에 불과하다.



중국에는 2억2,000명의 학생들이 있는데, 그 중의 3분의 1이 겨우 초등학교를 끝마치며, 고등학교까지 공부하는 학생수는 30%에도
못 미친다.



중국의 평균 교육정도는 5.51년이다. 거대한 중국의 평균 문화소양은 초등학교 5년제를 졸업한 정도의 수준인 것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국민들의 평균 교육수준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민간이 나서고 있다. 그 중에서 희망공정은 정부의 장학사업보다 더욱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정부보다 더 실제적인 도움을 주어 국민들 사이에 칭찬이 자자하다.



학업을 포기해야만 하는 빈곤지역 아동들도 국가의 미래이자 희망이다. 중화민족의 미래의 등불인 빈곤지역 아동들의 계속적인 학업전개를 위해
희망공정사업은 닿을 올려 빈곤지역에도 교육의 빛을 전파할 수 있도록 전진하고 있다.


희망공정의 따스한 손길



희망공정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몇가지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지난 3월31일 홍콩 무비 스타 장만옥(張曼玉)은 《2004년 izzue 봄 여름 신상품 의상 발표회》에 참석, 이 날의 하이라이트인
자선경매 활동에 직접 디자인한 Lets go to school 이란 로고가 인쇄된 T-셔츠를 판매했다.



경매에서 벌어드린 수익금은 모두
20만 위안(한화 3천만원 상당)이었고, 수익금은 모두 희망공정에 기부됐다. 장만옥은 자신이 디자인한 도안으로 자선기금을 만들고, izzue社와
함께 경매활동을 벌여 희망기금을 만든 것에 뿌듯해 하였다고 한다.



이는 중국의 의류업계와 사회가 교류의 장을 열었다는 점에서 상당히 중요한 의의를 가진 일이었다. 희망공정의 기부금들은 중국 국내에 있는
빈곤지역 어린이들의 학습 및 학교 건설에 사용되어진다.



3월29일에는 제1회 중국 희망초등학교 전체 운동회 준비위원회가 베이징에서 구성됐다. 이번 운동회는 중국의 어린이날 기간인 5월28일에서
6월2일까지 베이징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이는 흥미롭고 다채로운 운동회를 거행해 빈곤지역 아이들의 건전한 모습을 보여주고 희망초등학교
건립 후의 훌륭한 성과물들을 보여주려는 의도다. 운동회는 각 성(자치구, 직할시)에서 희망초등학교 대표단을 선정하는 방식인데, 만약 학생수가
10명 이상의 희망학교는 자원하여 경기에 참가할 수 있다. 이번 운동회를 위해 중국 홍청팅그룹은 희망공정 본부인 중국청소년발전기금에 200억
위안(한화 약 3억 상당)을 기부했다.



운남의 어느 초등학교 교사인 짱(張)선생은 요즘 항상 싱글벙글이다. 오랜 기간 어렵게 지낸 학교에 새로운 희망이 생겼기 때문이다. 그녀가
살고 있는 학교는 산골짜기에 위치해 있다. 학교라 하기엔 허술하기 짝이 없는 대나무로 만든 집인지라 바람도 폭풍우도 막기 어려웠다. 아이들을
위해 학교가 절실했지만 학부모들은 경제력이 미약했고, 정부 또한 마땅한 대책을 세울 여유가 없었다. 그래서 학업을 중도에 포기하는 아이들이
수두룩했다.



1999년 희망공정 상해지부로부터 도움의 손길이 다가왔다. 그 동안 허술하기 짝이 없던 학생기숙사가 새로 생겼고, 야외에서 밥을 먹던
아이들에게 바람을 피하게 해주는 식당이 생겼다. 마실 물을 길으려면 3km를 걸어가야 하는 이 곳에 수도관도 생겼다.



또한 짱선생은 중국청소년발전기금에서 주최하는 제59기 희망공정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됐다. 짱선생은 희망공정이 빈곤지역 어린이들에게
가지는 사랑과 관심에 진심으로 감사하며 앞으로도 빈곤지역 아이들의 교육지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주기를 희망했다.


민간주도의 공익사업에 큰 의의



희망공정은 중국청소년발전기금회에서 운영하는 사회공익사업이다. 정부차원이 아닌 민간주도의 공익사업으로 중국 국내 외 자금을 동원하여 희망공정
자금을 마련한다. 주로 빈곤지역 아동의 기초 학습 완수를 돕고, 빈곤지역에 아동들의 학습환경을 마련해주는 등 가난으로 인해 교육의
기회를 잃어버린 아동들의 기초교육 사업 발전을 추진한다.



희망공정은 1989년에 실시된 이후, 15년 동안 250만 명의 빈곤지역 학생들의 학업유지를 도왔고 모두 1만여 개의 희망초등학교를 건설했다.
이는 사회 각 계가 어린이들의 미래를 위해 희망공정에 기부한 기부금이었으며, 이는 농촌지역 및 빈곤지역의 기초 교육사업에 중요한 작용을
발휘했다.



중국 국내의 희망공정은 현재 북경 천진 상해를 제외한 27개 성의 1,200여개 현(縣)에서 실시되고 있다. 국외지역으로는 대만을 제외한
전세계에 30개 희망공정기금관리기구가 위치하고, 이들은 모두 합법적인 희망공정 기금단위이다.



희망공정기금의 사용은 투명성을 원칙으로 한다. 모든 기부금은 쓰여진 곳을 명확히 밝히는 것이 원칙이다. 대개 기부자는 아동이 학교에 복학한
이후에도 지속적인 연락을 하며 아동들의 원활한 학교생활을 돕는다.

실학아동이 기부금 수령 후에, 기부자에게 감사의 편지를 보내고, 성적을 보고하는 것을 의무사항으로 하고 있다. 이는 제도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사항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아동들은 기부자들과 연락을 하며 지내고 있다.



중국은 지금 희망공정 사업을 추진하여 그 동안 낙후되었던 교육환경을 개선하려 하고 있다. 지금 중국정부는 경제성장 목표로만 질주하고 있고,
중국에서 도시-농촌지역 간의 빈부격차는 엄청나서 빈곤지역에 복지환경을 마련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민간단체가
자율적으로 구성되고 아동들의 교육을 돕는다는 것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개최하려면 경제성장도 중요하지만 국민들의 문화소양도 높아져야 한다. 부디 희망공정의 빛을 받아 농촌에도 더
이상 실학아동들이 늘어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시사뉴스 webmaster@sisa-news.com
Copyright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