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세권 기자]내년 20대 총선 예비후보 등록일을 사흘 남긴 12일 여야 지도부가 선거구 획정 기준안 마련을 위해 다시 마주 앉았지만 또 결렬됐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는 양당 정치개혁특별위원회 간사들과 이날 오전 10시부터 두 시간 가량 국회에서 회동을 가졌지만 '빈손 종료' 했다.
여야는 회동에 앞서 정의당 의원들이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촉구하자 이 같은 의견을 들은 뒤 별도의 모두발언 없이 비공개 회동에 돌입했지만 이병석 정개특위 위원장의 '연동형 비례대표' 제도를 마지노선으로 제기한 야당의 제안에 새누리당이 또 다시 거부 의사를 표시해 결렬됐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회동을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현행 제도와 같이 246(지역구)-54(비례대표)석으로 하는 것을 1안으로 하고, 여야가 잠정 합의한 253-47석 안을 2안으로 해 무기명 투표에 붙이자고 제안했는데 받아들여 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앞서 여야는 현행 246석인 지역구 의석수를 253석까지 늘리고, 비례대표 의석수를 7석 줄이는 방향으로 의견 접근을 이뤘다. 야당이 '비례대표 의석 감소 불가' 입장에서 한 발 양보한 것이다.
야당은 비례대표 의석수를 줄이는 대신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을 제안했다. 그러나 새누리당이 거부하자 이병석 정개특위 위원장이 제안한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마지노선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새누리당이 현재의 권력구조 하에서 이를 논하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