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롤프 마파엘 주한 독일대사가 12일 남북통일을 준비하려면 평양 출신 대통령과 국무총리의 출현을 받아들일 수 있는 정도의 마음의 준비가 돼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파엘 대사는 이날 낮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통일부 직원 대상 특별강연을 통해 "독일의 정치적 통일은 완성됐다. 동독 출신 대통령과 수상이 나왔기 때문"이라며 "(한국도)통일에 대해 얘기하려면 평양 출신 대통령이나 국무총리도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독일의 일부 주는 주 총리가 동독 공산당 출신"이라며 "동독 공산당이 통일 후 25년 지난 이후에도 독일의 한 주에서 주 총리를 배출한 것은 특기할 만한 사항"이라고 말했다.
마파엘 대사는 또 "최대한 빨리 남북간 인적교류와 경제협력을 시작해야 한다. 더 많이 남북간에 소통할수록 서로 이해가 높아지고 관계 개선의 토대가 마련될 것"이라며 "젊은이들이 북한을 여행하면 처음에는 충격을 받겠지만 북쪽에도 동포들이 산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라고 견해를 밝혔다.
그는 남북관계 경색 국면에 관해선 "올해 들어 대화가 진행되지 않는 부분은 안타깝다"며 "남북 양국에서 올해 큰 기념행사가 있기 때문에 그런 기회를 잘 잡아야한다. 대화가 열렸을 때를 대비해 사전에 준비를 열심히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마파엘 대사는 북한인권문제와 관련해선 "독일에선 유럽안보협력기구 헬싱키협약에 동독 인권 문제를 포함한 것이 중요한 계기가 됐었다"며 "한국이 해야 하는 부분은 지난 2년간처럼 유엔 차원에서 인권 문제를 제기해 북한의 행동을 국제사회가 용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독일 통일 과정의 문제점에 관한 질문에는 "필요악은 화폐 통합을 1대1로 한 것이었다. 다만 화폐 통합을 안 하면 동독인들이 전부 서독으로 넘어간다고 했기 때문에 선택지가 없었다"며 "사회보장제도 통합도 6개월만에 이뤄져서 비용이 많이 들었다. 충분한 시간을 들여서 하는 것이 중요하다. 갑자기 하는 것보다 점진적 통일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마파엘 대사는 통일 후 북한지역의 경제 발전 전망에 관해선 "동독은 예전엔 산업화 수준이 높았고 숙련 노동자도 많았다. 그래서 드레스덴이나 라이프치히는 지금은 당시 명성을 회복했다"며 "북한도 30년전에는 공산권에서 산업화가 잘 된 나라 중에 하나였다. 같은 한국인이기도 하니 빨리 배워서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