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북한 탈영병 추정 남성이 작년 말 중국 국민 4명을 살해한 사건과 관련해, 중국이 북한 정부에 항의했다고 공식 입장을 밝힌 가운데 중국 언론들이 자국 정부의 정보 비공개, 뒤늦은 정보확인 행보에 불만을 표시했다.
6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의 자매지인 환추스바오(環球時報)는 '북한 탈영 군인이 중국 마을에 침입한 사실을 한국 매체가 전달하게 하지 말자'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중국 국민 4명이 죽은 사실을 한국 언론이 먼저 전하고, 중국 정부는 정보 공개를 하지 않은 것은 분명히 잘못된 일"이라고 역설했다.
전날 동아일보 등 한국 언론이 소식통을 인용해 관련 보도를 한 이후 중국 언론들은 해당 사건을 속보로 보도하고, 후속 취재를 하는 등 특별한 관심을 보였다.
이런 가운데 환구시보는 또 "당국의 비공개 행보는 북·중 관계를 매우 민감한 사안으로 보기 때문으로 추측된다"면서 "그러나 개별적인 범죄 사건에 있어서 그 탈영 병사가 북한 정부를, 북한 일반 국민을 대표한 것이 아닌데 북·중 관계와 무슨 관계가 있느냐"고 반문하면서 불편한 심정을 토로했다.
해당 사건은 1400㎞ 길이 국경선이 있는 북·중 변경 지대 관리 소홀의 문제를 드러냈다면서 이런 유형의 사건을 소극적으로 처리하는 것보다 광범위한 주민들이 알게 하는 것이 국경 경비 강화에 더 유리하다고 신문은 주장했다.
대북 관련 업무를 처리하는 중국 정부 기관이 너무 많은 생각을 갖고 있는 것이 단순한 문제를 오히려 복잡하게 만들었다고 신문은 비난했다.
특히 북·중 관계는 '국가 사이의 일반적인 도리'에 따라야 하며 만약 북한 측이 부적절하게 대처하면 우리가 이들을 정확한 방향으로 이끌어야 하며 과도하게 양보해서는 안 된다면서 신문은 덧붙였다.
신문은 또 최근 외교적인 마찰에 관련해 제삼자나 외국 정부, 매체가 먼저 공개해 왔고 중국 관련 부문과 주류 매체는 이를 관례로 받아들이고 있다면서 정부 기관과 언론의 공신력 부족 문제를 지적했다.
한편 또 다른 유력 언론인 신징바오(新京報)는 해당 사건에 대한 후속 취재를 통해 사건이 발생한 해당 마을에서 수 년 간 희생자가 20명에 달한다고 보도했다가 이후 관련 내용을 삭제했다.
이 언론과 해당 언론을 인용한 다른 중국 언론이 관련 내용을 삭제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신징바오에 따르면 이번 사건의 피해자인 두 쌍의 60,70대 부부는 한국에서 사는 자녀들과 떨어져 현지에서 농사일을 하면서 지내는 평범한 주민이라면서 난핑 촌장은 돈을 빼앗긴 차(車)씨를 포함해 주민들이 두려움에 떨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이 사건을 공식 확인하면서 "이미 북한 측에 항의했으며 공안당국이 법에 따라 처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외교 당국이 자국민 피해에 대해 북한 측에 항의했다고 공식 확인한 것은 이례적인 일로 평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