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두 번 실수는 없다!’
뉴욕주 공립학교 교과서에 동해 병기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재상정 된다.
지난해 주상원에 동해 병기 법안을 상정한 토니 아벨라 의원은 뉴욕한인학부모협회(공동회장 최윤희 라정미)와 함께 5일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8일 주의회 회기 첫날에 뉴욕주 교과서 동해 병기 법안을 재상정하겠다”고 밝혔다.
동해병기법안(S6599D)은 지난해 주 상원에서 압도적인 표차(찬성 59표 반대 2표)로 통과됐으나 같은 내용의 하원 법안(A9703)이 회기 마지막 날까지 본회의 안건으로 채택되지 않으면서 자동폐기 됐다.
당시 한인사회는 법안 통과를 위해 대책위원회까지 구성하는 등 전력을 기울였으나 민주당이 다수인 하원에서 첫 단계인 교육위원회조차 통과하지 못해 충격을 줬다. 당시 하원에서는 에드워드 브라운스틴 의원이 동해법안을 상정했으나 계파 간 갈등이 불거지면서 어이없이 좌절됐다.
당시 동해법안 통과를 위해 뉴욕주 의사당이 있는 올바니를 다섯 차례나 방문하는 등 100명이 넘는 의원들을 접촉하며 로비활동을 펼친 뉴욕한인학부모협회는 하원의 유일한 한국계 의원인 론 김(한국명 김태석) 의원이 동해법안 통과를 방해했다고 폭로해 큰 파문이 일었다.<뉴시스 2014년 6월27일 송고기사 참조>
뉴욕한인학부모협회는 “당시 김 의원이 토니 아벨라 주상원의원을 영웅으로 만들 수 없으므로 이 법안을 절대로 하원에서 통과시킬 수 없다고 말했다”며 “뉴욕 한인사회의 오랜 숙원이었던 동해병기 입법 문제를 본인의 정치적 야망에 사로잡혀 법안 통과를 저지하는 실수를 했다”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 측은 “아벨라 의원이 민주당에서 독립 콘퍼런스 계파로 이적했기 때문에 민주당이 주도하는 주하원에서는 지지를 이끌어내기 불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한 것이 와전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뉴욕한인학부모협회는 “한인사회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당선된 김 의원이 동해법안의 공동 발의자로도 이름을 올리지 않았다는 사실을 한인사회는 반드시 알아야 한다”며 김 의원의 공식 사과를 촉구했다.
아벨라 의원과 뉴욕한인학부모협회는 2009년부터 동해법안 통과를 위해 노력해 왔다. 특히 지난해 초 버지니아주의회가 미 50개 주 최초로 동해법안 통과의 개가를 올린데 자극을 받아 동해법안에 위안부 역사까지 언급하는 내용의 법안을 제출해 관심이 쏠렸다.
뉴욕한인사회는 동해법안이 상하원에서 폭넓은 지지를 받고 있음에도 정치적 이해에 얽혀 물거품이 되는 실수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범동포 차원의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한인사회의 확고한 의지를 천명할 방침이다.
한인사회의 한 관계자는 “동해법안이 뉴욕주에서 또다시 정략적 이해로 좌절된다면 한인사회가 똘똘 뭉쳐 해당 정치인들을 반드시 심판해야 한다”면서 강력한 사전 경고의 필요성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