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일본 연립여당이 14일 치러진 일본 총선(중의원 선거)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면서 아베 내각이 우경화를 향해 폭주를 계속할 것이라고 중국 유력 언론이 전망했다.
15일 중국 유력 일간지 징화스바오(京華時報)는 이번 선거로 아베 장기 집권의 기반이 마련됐을 뿐만 아니라 아베의 폭주 행보에 새롭게 '연료'를 주입하는 결과가 초래됐다고 분석했다.
자민당과 연립 여당인 공명당은 중의원 의석의 3분의 2(317석)가 넘는 326석을 얻는 압승을 거두면서 아베 신조(安倍晉三) 총리는 향후 4년 임기가 보장됐고, 집단적 자위권 행사 등 군사 안보 영역에서 새로운 행보를 보일 것이며, 특히 숙원이라고 말해왔던개헌을 보장된 임기 내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언론은 전했다.
언론은 아베 총리가 '개헌은 자민당의 원점(原點)'이라는 말을 수없이 하는 등 개헌에 대한 야심을 여러 번 드러내 보였다면서 이번 압승을 발판으로 개헌을 위한 국민운동을 전개하고, 국민의 의지를 깨우는 등 행보에 주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언론은 이런 가운데 아베 정권이 군사안보 정책 변화와 개헌을 추구하면서 국민의 마음 속에 위기감을 조성할 필요에 따라 향후 긴장되고 취약한 중·일 관계를 지속적으로 조종할 가능성이 클 것이라면서 중국 정부는 양국 관계를 정치적 도구로 악용하려는 아베 정권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아베 총리는 내년 종전 70주년 기념일인 8월15일을 전후로 신(新)담화 일명 '아베 담화'를 내놓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담화는 아베 내각의 역사 인식을 가늠하는 시금석이 될 것이라고 언론은 설명했다.
또한 언론은 아베 정권이 총제적으로 '고노 담화', '무라야마 담화'의 정신을 계승할 것이라고 언급했지만 역사적 반성에 소홀히 하거나 무력화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향후 아베 정권의 위안부 강제동원 부인 등 과거사 부정 시도에 관련해서도 주목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해 자민당이 공약집에서 "허위에 기반을 둔 근거없는 비난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반박하고 국제사회에 대한 대외 발신을 통해 일본의 명예와 국익을 회복하기 위해 행동할 것"이라고 밝힌 가운데 이는 위안부 강제 동원 등에 대해 부인하겠다는 것에 대한 암시라고 언론은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언론은 아베 정권이 정치무대를 장악한 이상, 역사 수정주의와 군비 증강은 이들 정권의 동력이라는 사실에는 변화가 없어 향후 중국 정부가 일본의 여러 동향을 주목할 때 이를 좌표로 삼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편 중국 언론과 매체들은 이번 선거에 대해 신속하게 보도하며 이례적인 관심을 나타냈다.
아울러 일부 중국 전문가는 이번 총선에서 장기집권 기반을 마련한 아베 정권이 중·일 간 영유권 분쟁 문제와 과거사 문제 등에서 계속 중국을 자극할 경우, 양국 간 갈등 수위가 더욱 고조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