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靑 “정윤회 문서 유출경위, 검찰에서 밝힐 것”[종합]

朴대통령·비서실장 관련보도 내용에 “확인 어려워”
청와대·박 경정 엇갈린 입장 속 문건 유출자 수사 주목

김부삼 기자  2014.12.04 12:38:18

기사프린트

[시사뉴스 김부삼 기자]청와대는 4일 이른바 ‘정윤회 문건’의 유출 경위와 관련해 “검찰 수사에서 잘 밝혀질 것”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문건 작성자로 지목된 박모 경정이 청와대를 떠나 경찰로 복귀하기 전 100여건의 주요 보고서를 출력해 간 정황을 검찰이 포착했다는 언론보도와 관련해 “지금 검찰의 수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검찰에 맡기겠다”며 “관련된 결과를 제출하라는 그러한 요청이 있다면 그에 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경정이 출력한 문건의 분량에 대해서는 “그게 다 조사결과에 해당한다”며 “조사결과에 대해서 궁금해 하는 것은 알겠는데 거기에 대해서 누가 뭘 했다는 것을 말해주기 어렵다”고 말했다.

청와대가 문건의 유출자로 누구를 지목하고 있냐는 질문에도 “(누구를) 용의선상에 올려놓는다든지 누가 가져갔을 것이라느니 이런 얘기가 모두 검찰수사의 쟁점”이라며 “수사에서 잘 밝혀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처럼 청와대는 말을 아끼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박 경정을 문건 유출자로 지목하고 있다. 검찰에 공공기록물관리법 위반 혐의로 박 경정에 대한 수사를 의뢰한 것이 그 증거다.

청와대는 지난 4월 세계일보가 공직기강비서관실 문건을 근거로 청와대 행정관의 금품수수 등이 적발돼 퇴출됐다는 보도를 내놓았을 당시 문건 유출 경위에 대한 조사를 벌여 박 경정을 유출자로 지목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에서는 누가 언제 내부 컴퓨터에 접속했는지부터 문서를 출력하고 복사했는지까지 모두 기록으로 남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박 경정을 유출자로 보고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는 것이다.

반면 박 경정은 지난 1일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문건을 유출한 적이 없다. 수사를 받겠다”고 자신이 유출자라는 의혹을 부인했다.

박 경정에게 해당 문건의 작성을 지시한 조응천 전 공직기강비서관도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5~6월 민정에 올라간 한 문건에는 박 경정이 아닌 제3자가 (문건 유출의) 범인으로 지목돼 있다”면서 청와대 내부 문건을 유출한 것은 박 경정이 아니며 이같은 사실을 민정수석실도 알고 있었지만 묵살했다는 요지의 주장을 한 바 있다.

또 국민일보는 이날 복수의 전·현직 청와대 관계자들을 인용해 박 경정이 올해 초 청와대 근무 당시 상관인 조 전 비서관에게 “내 문서를 다른 사람들이 들고 다닌다”고 보고했으며 이중희 전 민정비서관에게도 이같은 내용을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문건 유출자가 누구인지를 놓고 청와대와 박 경정 측이 완전히 상반된 주장을 펼치고 있는 것이어서 검찰 수사도 이 부분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검찰은 전날 박 경정과 서울경찰청 정보1분실 소속 경찰관 3명의 자택 등 총 6곳을 대대적으로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박 경정이 올해 2월 청와대 파견이 해제되기 직전 서울경찰청 정보1분실에 개인 물품과 서류를 잠시 보관한 점에 주목하고, 정보분실 소속 경찰관들이 박 경정이 갖다놓은 문건을 무단 복사하거나 사본을 열람했을 가능성에도 무게를 두고 있다.

한편 민 대변인은 김기춘 대통령비서실장이 해당 문건과 관련한 조 전 비서관의 보고를 받은 뒤 '찌라시' 수준의 정보를 공식문건으로 담아와 작성자들을 그만두게 했다는 언론보도에 대해서는 사실여부를 확인해 주지 않았다.

이날 중앙일보는 익명을 요구한 새누리당 의원을 인용, 김 비서실장이 “시중에 나도는 찌라시 수준의 정보를 공식 문건에 담아 보고하는 걸 보고 어떻게 더 일을 시킬 수 있었겠느냐”며 “내 선에서 묵살하고 문건 작성자들을 (청와대 근무에서)그만두게 한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민 대변인은 이에 대해 “여권 관계자가 그런 말을 했다는 것인데 (비서실장이) 전화를 했다고 하면 참이든 거짓이든 진위에 관계없이 제가 답해야 하는 일이 생기는데 김 비서실장이 그럴(사실여부를 확인해 줄) 의사가 없다고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