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61년의 해양경찰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이임식 없는 청장 퇴입식

박용근 기자  2014.11.19 09:54:15

기사프린트

[인천=박용근 기자]해경이 61년의 해경사를 마무리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해양경찰청은 18일 본청에서 김석균 청장의 퇴임식과 함께 이임식이 없이 막을 내렸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519일 세월호 참사 관련 대국민 담화에서 "해경을 해체하기로 결론 내리에 따라 "수사·정보 기능은 경찰청으로, 해양 구조·구난과 해양경비 분야는 국가안전처로 각각 넘어 갔다.
그동안 대통령의 담화 후 해체 수순을 밟아온 해경 조직은 지난달 정부조직개편안이 발표되면서 19일 오전 0시부로 해양경비안전본부로 편입돼 운영된다.
지난 195312월 해양경찰대로 출범한 해경은 해양경비·어로보호에서 해상범죄·해상교통·수상레저·오염방지 등으로 업무 영역을 넓힌 해경은 2001년 한·중 어업협정, 2005년 차관급 기관 격상 등을 계기로 조직을 확대했다.
해경은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본청을 두고 동해·서해·남해·제주 4곳에 지방해양경찰청, 해양경찰서 17, 여수 해양경찰교육원, 부산 정비창이 설치돼 있다.
11600명 규모의 인력에 연간 11000억원 규모의 예산을 사용하는 해경은 정부 부처 17개 외청 중 인력과 예산 규모에서 4위에 해당하는 거대 조직이었다.
해경은 수사와 정보 기능을 육상경찰에, 해양경비·안전·오염방제 기능은 국민안전처로 이관하게 된다.
치안총감(차관급) 계급인 해경청장 직제가 없어지면서 해경 관련 최고위직은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해경 인력은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로 편입돼 운영될 예정이며, 기존 4국 체제에서 해양경비안전국·해양오염방제국·해양장비기술국 3국 체제로 축소된다.
폐지되는 정보수사국 인력 200여명은 육상경찰로 자리를 옮기게 된다.
해양경비안전본부 지방 조직은 중부본부(보령·태안·평택·인천서), 서해본부(여수·완도·목포·군산서), 동해본부(속초·동해·포항서), 남해본부(울산·부산·창원·통영), 제주본부(제주·서귀포서)5곳으로 나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