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KB금융 ‘IPT 사업’ 비리수사로 확대되나?

검찰, KB금융지주 CIO, 특정납품업체 선정 외압 정황 포착

강신철 기자  2014.10.29 12:29:03

기사프린트

[시사뉴스 강신철 기자]KB국민은행의 주전산기 교체 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통신망 인프라 고도화 사업(IPT)에서도 납품업체 선정과 관련한 비리 의혹이 제기되자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검사 김후곤)는 KB금융지주의 최고정보책임자(CIO)인 김재열(45) 전 전무가 IPT사업 납품업체 선정 과정에서 부적절한 압력을 행사한 정황을 잡고 수사 중인 것으로 29일 알려졌다.

IPT사업은 KB금융지주가 2012년부터 올해 초까지 국민은행 본점과 영업점(지점)간 전용회선 재구축 등을 포함한 통신 인프라를 고도화하기 위해 1300억여원을 투입한 사업으로 KT가 주사업자로 선정됐다.

검찰은 KT가 통신장비 납품업체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김 전 전무가 개입해 특정업체 A사와 계약을 맺도록 외압을 넣은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이와 관련, 검찰은 KT 전·현직 임직원을 불러 납품업체 선정 과정 등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수년 전부터 거래해온 기존 납품업체 대신 A사로 납품업체를 변경할 것을 지시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KT가 주사업자인 만큼 납품업체를 선정·관리할 권한이 있지만 이를 무시하고 김 전 전무가 무리하게 특정 납품업체를 지정한 배경이 석연찮은 것으로 보고 계좌추적 등을 통해 수상한 자금흐름을 추적하고 있다.

검찰은 조만간 김 전 전무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납품업체 선정 과정에 개입했는지, 대가성 금품을 수수한 사실은 없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검찰은 아울러 사업 추진당시 임영록(59) 전 KB금융지주 회장이 결재라인의 최고위직에 있었던 만큼 김 전 전무로부터 납품업체 선정 관련 보고를 받거나 묵인했을 가능성도 열어놓고 수사하고 있다.

특히 납품업체로 선정된 A사의 대표가 임 전 회장과 같은 대학원 출신으로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부정한 청탁이나 로비가 이뤄졌을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임영록 KB금융지주 전 회장과 김재열 전 전무(CIO), 문윤호 KB금융지주 IT기획부장, 조근철 국민은행 IT본부장 등 4명을 업무방해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국민은행 측도 김재열 전무와 문윤호 KB금융지주 IT기획부장, 국민은행 IT본부장인 조근철 상무 등 3명을 업무방해 혐의로 고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