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부삼 기자]유엔(UN) 기후정상회의에 참석한 박근혜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재정이 부족하고 시장과 기술의 발전이 미흡한 개도국들을 지원하는 일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기후정상회의 기후재정 세션의 공동의장을 맡아 회의를 주재하면서 “다행히 국제사회는 개도국에 대해 대규모 기후재정 지원을 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녹색기후기금(GCF)의 자본 조성은 시작단계”라며 “민간의 자본과 창의적 아이디어,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을 활용해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초기자본 조성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또 “기후변화라는 전 지구적 차원의 도전을 새로운 가치와 시장, 일자리 창출의 기회로 바꾸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의 공동 노력이 필수적”이라며 “경제시스템이 저탄소 기후탄력적으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저탄소 인프라에 대한 민간투자가 확대되고 이를 통해 저탄소 기술개발과 제품생산이 확산되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민간부문이 불확실성 때문에 녹색투자를 망설일 때 시장에 분명하고 일관된 신호를 보내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투자 여건을 조성해줘야 한다”면서 한국 정부가 아시아국가 최초로 내년 1월부터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시행한다는 점 등을 소개했다.
박 대통령은 또 GCF에 1억달러까지 지원하겠다는 점을 재차 밝히면서 “글로벌 기후재정 조달에 정부와 민간, 선진국과 개도국이 함께 참여하고 힘을 모으기를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은 세션 말미에 결론연설을 통해서는“기후변화는 우리시대의 가장 큰 위기이면서 동시에 가장 큰 기회”라며 “기후재정의 도전은 취약한 개발도상국 지원을 위해 1000억 달러를 조성하는 것과 전 세계의 저탄소 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수조달러 규모의 투자를 확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오늘 우리는 전체적으로 200억달러의 재원조성 공약을 확인했다. 특히 이들 공약의 대부분이 민간 분야에 의해 2015년까지 달성된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이러한 공약들을 통해 세계 대부분의 나라들이 저탄소 탄력적 경계로 나아가는 데 더욱 박차를 가할 것으로 믿는다”고 언급했다.
박 대통령은 또 빈곤국가와 관련해 “그들의 개발에 대한 기대를 충족시켜주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그동안 발표된 녹색기후기금을 위한 기여들이 이들 국가들에 대한 재정지원을 늘리는 일을 더욱 용이하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박 대통령은 이날 유엔기후정상회의에 참석하면서 엔리케 페냐 니에토 멕시코 대통령과 공동의장 자격으로 오후에 열린 기후재정 세션을 주재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기후재정 세션은 ▲에너지 ▲석유와 산업 ▲산림 ▲농업 ▲도시 ▲수송 ▲회복력 ▲재원 등 기후정상회의의 8가지 기후행동 세션 중 하나로 열렸으며 노르웨이 정상과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김용 세계은행 총재 등이 참석했다.
당초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도 이 세션에 참석할 것으로 관측됐지만 참석하지 않았다고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밝혔다.
특히 반 총장과 김 총재도 이 세션에서 기조연설을 하면서 박 대통령을 포함한 한국인 출신 인사 3명이 나란히 의장단석에 앉아 눈길을 끌기도 했다. 박 대통령은 이 세션에서 정부의 촉진자 역할을 강조한 '공공분야 리더십'을 주재했다.
주 수석은 “지난 7월 독일이 GCF에 10억달러 기여를 발표한 데 이어 이번에 프랑스가 10억달러, 스위스가 1억달러, 한국도 총 1억달러, 멕시코 1000만달러의 재원 기여를 발표했다”며“미국, 영국, 일본 등은 오는 11월 GCF 재원공여국회의를 계기로 구체적인 기여 계획이 발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