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박용근 기자]해양경찰이 대통령의 담화와 관련 충격에 휩싸였다.
세월호 참사에 대한 대처 미흡으로 대대적인 개혁까지는 예상했지만 '해체'라는 초강수를 받아든 해경내 분위기는 망연자실 그 자체다.
19일 박근혜 대통령은 세월호 참사 관련 대국민 담화에서 "해경을 해체하기로 결론 내렸다"며 "수사·정보 기능은 경찰청으로 넘기고, 해양 구조·구난과 해양경비 분야는 국가안전처로 넘길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대국민담화를 TV로 지켜보던 해경 본청 관계자들은 예상치 못한 조치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해경의 한 관계자는 "해체까지는 예상하지 못했다. 너무 충격적이다"며 "세월호 참사 책임을 통감하고 새롭게 탈바꿈하려 했지만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아 안타깝다"며 말을 잇지 못했다.
다른 한 관계자는 "너무 충격적이어서 현실을 받아들이기 힘들지만 일부 간부들 사이에서는 해체 수순에 대한 논의가 있는 것 같다"며 "부디 직장을 잃는 상황까지 가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지난 1953년 12월 해양경찰대로 출범한 해경은 61년만에 해체 수순을 밟게 될 전망이다.
출범 이후 해양경비·어로보호에서 해상범죄·해상교통·수상레저·오염방지 등으로 업무 영역을 넓힌 해경은 2001년 한·중 어업협정, 2005년 차관급 기관 격상 등을 계기로 조직을 확대했다.
해경은 현재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본청을 두고 동해·서해·남해·제주 4곳에 지방해양경찰청, 해양경찰서 17개, 여수 해양경찰교육원, 부산 정비창이 설치돼 있다.
1만1600명 규모의 인력에 연간 1조1000억원 규모의 예산을 사용하는 해경은 정부 부처 17개 외청 중 인력과 예산 규모에서 4위에 해당하는 거대 조직이다.
하지만 해경은 세월호 참사에 대한 부실한 초동 대처와 수색 작업, 반복되는 말 바꾸기 등으로 국민에게 불신을 줬다는 등의 비난여론에 휩싸인 끝에 해체 수순을 밟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