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부삼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26일 방한 이틀째인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함께 한·미 동맹의 상징인 한·미 연합사령부를 방문했다. 한·미 양국 정상이 함께 연합사를 방문한 것은 1978년 연합사 창설 이래 이번이 처음이다.
양 정상은 이번 방문에서 커티스 스캐퍼라티 연합사령관으로부터 연합방위태세에 대한 현황을 보고받고 북한의 도발시 양국이 굳건한 연합방위태세를 바탕으로 단호히 대처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한·미 동맹은 수 십 년간 함께 했던 노력과 희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며 “한·미 동맹은 양국 국민과 정부가 전폭적으로 지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강력한 힘을 지닌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미 동맹은 군사뿐 아니라 경제와 정치를 비롯한 여러 면에서의 동맹이라는 점에서 성공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1978년 한·미 연합사가 창설된 이후 양국의 정상이 함께 연합사를 방문한 것은 처음 있는 일로서 뜻 깊게 생각한다”며 “북한의 무력 위협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라 더욱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확고한 한·미 연합 방위태세로 북한이 감히 도발할 수 없도록 강력한 억제력을 계속 유지해 주기 바란다”며 “여러분을 굳게 믿고 있다. We go together(우리 함께 가자)”고 격려했다.
스캐퍼라티 연합사령관의 보고에 앞서 오바마 대통령은 방명록에 “60년 넘게 한·미 연합군은 공동의 자유를 위해 희생을 아끼지 않았다. 우리는 함께 갈 것이며 우리의 동맹 관계는 결코 깨지지 않을 것이다”라고 적었다.
연합사에 따르면 오바마 대통령에 방명록에 서명을 한 탁자는 1953년 7월 당시 유엔군 사령관인 클라크 대장이 한국 전쟁의 정전 협정에 서명을 했던 책상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같은 설명을 듣고 “수많은 사람들이 치른 희생을 나타내는 징표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이번 연합사 방문은 한반도 방위를 위해 헌신하고 있는 연합사 장병들을 격려하고 공고한 한·미 동맹을 기반으로 한 확고한 연합방위태세를 함께 확인했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이날 연합사 방문에는 우리 측에서 김관진 국방부 장관과 최윤희 합동참모본부 의장, 미국 측에서 성 김 주한미국대사와 수전 라이스 국가안보보좌관 등이 수행했다.
한편 오바마 대통령은 1박2일간의 방한일정을 모두 마치고 이날 낮 12시께 아시아 순방의 세번째 방문국인 말레이시아로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