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조종림 기자] 미국의 자유분방한 현대음악을 대표하는 뉴욕의 '뱅 온 어 캔(Bang on a Can)'이 온다.
'뱅온어캔 올스타'라는 타이틀을 내걸고 4월2일 오후 8시 서울 역삼동 LG아트센터에서 한국 청중에게 처음으로 인사한다.
뉴욕에서 활동하는 작곡가 김인현(35)씨가 현지에서 설립한 음악단체인 예술기획 '이어 투 마인드'(Ear To Mind·ETM)의 국내 진출작이다. 지난해 설립된 ETM코리아와 LG아트센터가 손 잡았다.
뱅온어캔은 1980년대 뉴욕 음악계를 발칵 뒤집은 팀이다. 아카데믹한 정통 클래식 계보인 '업 타운' 음악과 아방가르드한 예술을 표방한 '다운 타운' 음악으로 양분된 당시의 판을 깬, 새로운 현대음악을 선보이는 팀으로 평가받는다.
팀 이름은 '한 무더기의 작곡가들이 앉아 깡통을 쾅쾅 두드리는 것'(banging on cans)과 같다고 말한 것에서 착안했다.
김 대표는 11일 "미국의 자유분방한 음악과 앙상블을 소개하고 싶었다"면서 "(헤이그 왕립음악원 교수) 루이스 안드리에슨이 미국 현대 음악을 고민한 1세대라면, '뱅온어캔'은 2세대다. 클래식과 대중의 거리감을 좁히고 재미있게 하자는 모토를 내세웠다"고 소개했다.
"기존 (클래식) 정통 형식을 빌려 곡을 쓰지만, 팝 음악 같기도 해서 팝과 록 음악의 청중도 끌어들일 수 있는 팀이에요. 진부해졌다며 클래식 음악을 떠난 중년층도 끌어들을 수 있죠. 살아 있는 작곡가의 곡을 주축으로 연주를 선보이는만큼 공감도 얻을 수 있죠. 현존하는 음악을 한국에 들려주고 싶었습니다."
뱅온어캔은 예일대 출신의 젊은 작곡가 마이클 고던, 데이비드 랭, 줄리아 울프로 구성됐다. 1987년 이스트 빌리지의 갤러리에서 12시간 마라톤 콘서트 '뱅 온 어 캔'을 기획, 주목 받았다. 첫 실험임에도 스티브 라이히, 존 케이지 등 거장으로 추앙 받는 작곡가 등 400여명이 몰려들었다. 현재는 매년 5000명이 넘는 청중을 끌어 모으는 뉴욕의 연례 행사가 됐다. 월드트레이드센터의 윈터가든에서 열린다.
팝과 록, 재즈 등 음악의 모든 장르를 끌어안는 뱅온어캔은 길거리 밴드인 '아스팔트 오케스트라', 신진 작곡가들을 육성하는 '서머 뮤직 페스티벌', 관객들의 기부로 젊은 작곡가에게 곡을 위촉하는 '피플스 커미셔닝 펀드'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1992년에는 6명의 멤버로 이뤄진 산하 앙상블 '뱅 온 어 캔 올스타'를 출범했다.
뱅온어캔올스타는 이번 내한에서 전형적인 클래식 앙상블과 달리 피아노, 첼로, 베이스, 퍼커션, 기타(일렉트릭 포함), 클라리넷 등으로 연주한다. 데이비드 랭의 '속이기, 거짓말하기, 훔치기'(1995), 마이클 고던의 '매들린을 위해'(2009), 줄리아 울프의 '믿음'(1997) 등 창단 작곡가들의 음악을 들려준다.
특히 깡통 따는 소리, 슬롯 머신에서 들리는 소리, 칼 가는 소리 등 일상에서 접하는 사소한 소리가 영상을 동반한 음악으로 변모되는 '필드 레코딩(field recordings)' 프로젝트를 소개할 예정이다.
창단 25주년을 기념, 2012년 시작한 필드 레코딩은 유명 작곡가뿐 아니라 신예 작곡가들이 작곡한 5~8분 정도 길이의 신곡 모음이 세트 리스트를 이룬다. 이번 공연에서는 ETM코리아 김 대표의 신곡이 세트 리스트에 포함된다.
"필드 레코딩은 존 케이지도 했던 거예요. 콘서트 무대의 대중화를 꾀한 거죠.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채집한 곡을 기존 스코어와 결합시키는 겁니다. 예를 들어 제 곡을 말씀드리면, 13년 만에 한국에 돌아오니 낯설더라고요. 제가 기획한 프로젝트를 들고 지하철을 타려고 했는데, 다른 사람들은 모두 바쁜 거예요. 멍하게 있는데 지하철이 들어 올 때 굉음이 내면의 목소리 또는 호흡 같기도 했어요. 이 소리로 곡을 만들었어요. 어떤 분은 고양이가 내는 소리를 알고 싶다면서 고양이 시선으로 카메라를 부착, 소리를 채집하기도 했죠. 필드레코딩은 음악을 하지 않은 일반사람에게도 주변의 소리에 귀기울 수 있도록 자극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해요."
ETM코리아는 LG아트센터 공연에 앞서 4월1일 오후 8시 서울 신문로 금호아트홀에서 '이어 투 마인드 코리아 기획 공연-루나 초롱 강 플루트 독주회'를 연다. 뱅온어캔이 함께하는 무대다.
뉴욕에서 최근 가장 주목 받는 플루티스트인 루나 초롱 강(27)은 예일대 석사, 맨해튼 음악대학 등을 나왔다. 뱅온어캔의 작곡가 줄리아 울프로부터 플루트 곡을 헌정받아 5월2일 뉴욕카네기홀에서 초연한다. 뱅온어캔과 함께 '2014 통영국제음악제'에도 초대를 받아 29, 30일 공연한다. 이날 공연에서 현대 무용가 코코 캐럴과 함께 '춤추면서' 플루트를 연주하는 색다른 모습을 선보인다.
맨해튼 음대에서 학사와 석사를 밟은 김 대표는 맨해튼 음대 총장상, 캐리어 레코드 작곡가상, 뉴욕 예술협회 IAP 작곡가상을 받는 등 최근 뉴욕에서 가장 주목 받는 작곡가 중 한 명이다
"한국 관객들이 뜨겁더라고요. 13년 간 많이 변해 즐길 준비가 된 것 같아요. 제가 뉴욕에서 자유 분방하고 제3세대 음악을 하고 있는데 한국에도 동시대 젊은 뮤지션들의 음악을 소개하고 싶었습니다. 유명한 뮤지션이라도 길거리에서 밴드랑 자유롭게 공연하는, 형식에 얽매이지 않은 무대를 선보이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