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부삼 기자] 여야는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여성이 행복한 시대를 만들어 가자며 여권 신장을 위해 노력해나갈 것을 한목소리로 다짐했다. 다만 야당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의 여성 정책에 대한 비판이 터져 나왔다.
새누리당 민현주 대변인은 논평에서“전 세계 여성들의 축제이자 여성 인권 신장을 위한 위대한 행진인 세계 여성의 날을 진심으로 축하한다”며 “앞으로도 새누리당은 여성들이 겪는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여러 정책 및 입법 활동을 앞장서서 챙겨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세 모녀 자살 사건, 모자 투신사건 등에서 나타나듯 생활고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성 복지 사각지대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새누리당은 여성이 행복해야 대한민국이 행복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집권여당으로서 여성대통령과 함께 여성들의 여성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법과 제도 마련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야당도 여권 신장을 향한 노력을 다짐하는 한편, 박 정부의 여성 정책을 비판하면서 대한민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한 정부 정책을 촉구했다.
민주당 한정애 대변인은 국회에서 브리핑을 갖고 “3월8일은 여성들이 모든 불평등으로부터 궐기해 권리를 선포한 날이자 사회적 주권자로서 태어난 생일과도 같은 날”이라면서“송파 세 모녀 자살에 이어 계속되는 엄마들의 죽음은 대한민국 여성들이 겪고 있는 불행과 절망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여성 취업자의 40.6%가 비정규직이고 임금은 남성의 60%에 불과하다.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대통령 시대를 맞았다고는 하나 여성들이 느끼는 유리천장은 더욱 단단하다. 장·차관급 72명 중 여성은 4명에 불과하다”며 “대한민국 최초 여성대통령으로서 여성의 행복을 찾아주는 진정성 있는 노력을 해달라”고 요구했다.
정의당 이정미 대변인도 “여성대통령 시대를 열고 1년이 지난 지금의 대한민국 여성들에게는 아직도 가야할 길이 멀다”면서 “노동 시간만 반토막내면서 임금 격차를 더욱 벌이고 있는 시간제 일자리 정책을 즉각 중단하라. 국공립 보육시설 확충 등 공공보육정책을 포함한 폐기된 복지 공약을 즉각 이행하라”고 촉구했다.
정의당 천호선 대표는 트위터를 통해 “100년 전 여성노동자들의 권리찾기 운동으로 시작된 여성의 날에 그러면 지금은 과연 평등한가 묻는다”며 “사과받지 못한 위안부 할머니들이, 도시락 먹을 곳조차 없는 여성청소노동자들이 아니라고 답한다. 여성대통령의 시간제 일자리도 여성의 희생을 강요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