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이상미 기자] 올해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이 97개 더 늘어난다. 이에 따라 국공립어린이집 대기자가 약 10만명에 달하는 가운데 6178명이 추가로 입소한다.
서울시는 22일 '2014년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사업 추진계획'과 함께 지난 2년간 추진실적을 발표했다.
지난 2012년부터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신규 확충이 결정된 국공립어린이집은 모두 209개소로 이중 84개소가 개원했다. 올해 97개소가 추가로 개원하고 나머지 28개소는 내년 이후에 문을 연다. 또 서울시내 전체 423개 동 가운데 국공립어린이집이 설치되지 않은 37개 동 중 21개 동에 신규 설립하는 등 지역 불균형을 해소했다.
시는 신규 확충되는 어린이집의 72.2%(151개소)에 '비용절감형 서울모델'을 적용해 모두 1583억원의 비용을 들였다. 이는 신축비용 대비 약 2300억원을 낮춘 액수다.
비용절감형 서울모델은 기업과 종교단체, 학교, 개인 등이 설치 장소를 제공하거나 시가 부지를 제공하면 어린이집을 설치하는 민관공동연대 방식이다.
건물을 매입해 어린이집을 신축하면 개소당 평균 18억9000만원이 드는데 반해 민관공동연대를 활용하면 개소당 1억6000만원이 소요돼 비용이 12분의 1 절감된다.
시는 올해까지 모두 280개의 어린이집 확충을 목표로 100개소 이상을 신규 확보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모두 689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놓은 상태다.
특히 올해부터 신규 어린이집의 간판과 건물 내·외부 등에 '희망의 노랑새'라는 스토리텔링 기법의 디자인과 BI가 적용돼 통합 브랜딩이 이뤄진다. 또 시는 위탁운영기관과 사회적협동조합 등이 어린이집을 운영토록해 보육품질을 강화한다.
아울러 직장어린이집 의무설치 대상에서 제외되는 중소기업과 적극적인 연계를 통해 '국공립·직장 혼합형 모델'이 추진된다. 정원의 일부는 지역 주민에게 개방된다.
조현옥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무조건적인 재정투입보다는 국공립 확충 등 보육의 공적체계를 가오하하는 것이 우선”이라며 “비용을 줄이면서도 학부모들이 믿고 선호하는 국공립어린이집을 지속적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