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언론사 홈페이지 통한 선정성광고 접촉 가장 많아

우동석 기자  2014.01.09 14:16:01

기사프린트

신체가 노출되거나 성적욕구를 자극하는 등의 선정성 광고는 주로 언론사 홈페이지를 통해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인터넷에서 선정성 광고를 경험한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인터넷 뉴스사이트에서 선정성 광고를 경험한 이용자가 74.6%(373명)로 가장 많았다고 9일 밝혔다.

응답자의 70.4%(352명)는 일주일에 3회 이상 선정성 광고를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거의 매일 접한다고 답한 비율도 29.2%(146명)나 됐다.

실제로 인터넷 뉴스사이트 140개를 모니터링한 결과, 21.4%인 30개 사이트가 로그인 등 별다른 접근제한 장치없이 선정적인 광고를 게재하고 있었다.

특히, 일반 뉴스사이트(15%)보다 청소년의 접근이 많은 연예·오락이나 스포츠전문 뉴스사이트의 선정성 광고 게재비율(75%)이 5배나 더 높았다.

선정성 광고는 성기능 및 미용·다이어트 관련 식용품 광고가 각각 42.5%와 32.5%로 대부분이었고, 성형외과·비뇨기과·의류쇼핑몰이 각각 5%씩을 차지했다.

이러한 선정성 광고에는 신체노출 사진·영상 사용이 57.5%로 가장 많았고, 성적욕구 자극 문구(25.0%), 성행위 묘사 사진·영상(17.5%)도 다수 포함돼 있었다.

하지만 청소년의 접근을 막는 19세 등의 경고문구는 7.5%에 불과했고, 해당 사이트로 연결된 이후에 로그인 등의 제한장치가 마련된 경우도 5.0%에 그쳐 청소년들의 접촉 우려가 높았다.

소비자원은 인터넷에서의 건전한 광고문화 정착을 위해 인터넷 뉴스사이트의 선정성 광고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