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종합]경찰, 철도노조 사무실 등 압수수색

체포영장 발부 이어 압수수색 전방위 압박…노조 '반발'

김정호 기자  2013.12.17 16:10:31

기사프린트

[시사뉴스 김정호 기자] 철도노조 파업이 9일째에 접어든 가운데 경찰이 노조사무실에 대해 전격 압수수색했다.

경찰은 17일 오전 8시5분께부터 서울 용산구 철도회관에 있는 철도노조 본부와 철도지방본부에 있는 철도노조 서울본부에 대해 압수수색을 시작해 오후 1시30분께 마쳤다.

철도노조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30분께부터 경찰 병력이 철도회관 주변에 투입돼 사무실로 가는 모든 길목을 차단했다. 그러나 경찰의 압수수색에 응하며 우려했던 충돌은 일어나지 않았다.

경찰 관계자는 “압수수색에 들어가기에 앞서 노조원들과의 충돌에 대비해 현장 일대에 병력 150여명을 배치했으나 큰 마찰 없이 순조롭게 진행됐다”고 말했다. 이번 압수수색은 코레일 측이 철도노조의 이번 파업에 대해 업무방해혐의로 고소함에 따라 법원으로부터 압수수색영장을 발부 받아 이뤄졌다.

경찰은 압수수색을 통해 파업 관련 서류와 컴퓨터 하드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등을 확보했고, 혐의 여부를 수사할 계획이다.

철도노조 관계자는 “노동조합의 정당하고 합법적인 파업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정부가 또다시 경찰을 노조사무실까지 투입하여 압수수색을 진행했다”며 “이는 헌법에 보장된 국민의 기본적인 권리마저 탄압하는 것으로 국민은 물론 국제적으로도 비난받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지금의 파업을 중단시키기 위해서는 검경을 동원한 공안탄압이 아니라 정부와 국회가 대화의 자리로 나와 철도노조, 국민과 올바로 소통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경찰은 서울 용산경찰서 등 전국 5개 경찰서에 전담팀을 구성하고 체포영장이 발부된 김명환 철도노조 위원장 등 노조 지도부 10명의 위치를 추적 중이다.

현재 김 위원장을 비롯한 체포영장이 발부된 노조 지도부는 민주노총 사무실에 모여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경찰이 이들에 대한 강제구인에 나설 경우 충돌이 우려된다.

최은철 철도노조 대변인은 “정부가 대화를 요구하는 노조측에 강경 대응하고 있다. 필수인력을 남긴 우리의 파업은 정당한 것으로 업무방해가 아니다”면서“만약 경찰이 민주노총 사무실로까지 밀고 들어오겠다고 하면 순순히 응할 생각은 없다”고 강력한 의지를 내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