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부삼 기자] 여야가 29일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 움직임에 한목소리로 반대의견을 밝혔다.
새누리당 홍지만 원내대변인은 이날 현안논평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중국위협론을 내세우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일본이 주도권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일본의 동향을 소개했다.
홍 원내대변인은 “이것은 일본의 견제 역할을 강조하면서 집단적 자위권 도입 등 군사 재무장의 당위성을 선전하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그는“과거사에 대한 철저한 사과와 반성 없이 추진되는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는 있을 수도 없고 있어서도 안 된다”고 주장했다.
홍 원내대변인은 “한국의 동의 없이 한반도 유사시 일본이 개입하는 사태는 결코 용납될 수 없음을 밝힌다”고 재차 강조했다.
민주당 장병완 정책위의장도 이날 국회에서 열린 24시비상국회운영본부 회의에 참석해“한반도를 과거의 냉전시대로 회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동의 결정은 즉각 철회돼야 한다”고 밝혔다.
박용진 대변인은 현안논평에서 정부를 겨냥, “우리 집에 들어와 강도짓을 했던 이웃주민을 다시 집에 들이겠다고 하는 가장에게 가족들이 어떻게 믿음을 가질 수 있겠느냐”며 “정부가 우리 국민의 정서를 무시하고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선택을 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통합진보당 김재연 대변인도 현안논평에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은 한반도의 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할 뿐만 아니라 한반도 위기를 기회삼아 다시 한반도에 진출하겠다는 야욕의 발판”이라며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을 절대 용인해서는 안 된다고 정부를 압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