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개성공단 폐쇄이후 재가동 합의까지 주요일지

강민재 기자  2013.08.14 22:18:33

기사프린트

잠정폐쇄 134일만에 개성공단 굴뚝에 연기가 피어오를 전망이다.

박왕자씨 피격 사건, 천안함 폭침 등 온갖 곡절을 거치면서도 가동을 멈추지 않던 개성공단이 '완전 폐쇄' 기로에서 희망의 실낱을 잡았다.

남북은 14일 오전 10시부터 9시간여 동안 이어진 줄다리기 끝에 개성공단 재가동에 합의했다.

다음은 지난 3월27일 북한의 군 통신선 차단으로 시작된 개성공단 잠정폐쇄 이후 재가동 합의까지의 일지.

▲2013년 3월27일 北, 남북 간 군 통신선 차단

▲2013년 3월30일 北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존엄 훼손시 개성공단 폐쇄 발표

▲2013년 4월3일, 北, 개성공단 통행 제한, 남측으로의 귀환만 허용

▲2013년 4월4일, 北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대변인 "못된 말 계속하면 北 근로자 철수"

▲2013년 4월5일, 개성공단 원부자재 부족으로 3개 업체 조업중단

▲2013년 4월8일, 北 김양건 노동당 대남담당 비서 "개성공단 가동 잠정 중단·北근로자 전원 철수" 발표

▲2013년 4월9일, 北 근로자 5만3000여명 철수, 사실상 가동 중단

▲2013년 4월11일, 통일부 장관, 대화 통한 문제 해결 촉구 성명 발표, 대통령, "北과 대화" 언급

▲2013년 4월14일, 北 조평통, 南 대화 사실상 거부

▲2013년 4월17일, 北, 개성공단 입주기업 대표 방북 불허 통보

▲2013년 4월18일, 北 국방위원회 정책국, 韓·美에 "대화·협상 원하면 도발 중지하고 사죄해야"

▲2013년 4월19일, 北, 범 중소기업계 대표단 22일 방북 불허 통보

▲2013년 4월25일, 정부, 개성공단 사태 해결위한 남북 당국 간 실무회담 개최 제의

▲2013년 4월26일, 北 국방위 정책국, 개성공단 실무회담 거부

▲2013년 4월27일, 개성공단 체류 남측 인원 126명 귀환

▲2013년 4월27일, 北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개성공단 폐쇄되면 南책임, 비싼 대가 치를 것"

▲2013년 4월29일, 개성공단 체류인원 43명 추가 귀환, 미지급금 문제로 7명 잔류

▲2013년 4월30일, 개성공단입주기업협회 대표단 개성공단 방문 무산

▲2013년 5월3일, 개성공단 실무협의 타결, 7명 귀환

▲2013년 5월5일, 北 "적대행위·군사적 도발 중지해야 개성공단 정상화" 주장

▲2013년 5월14일, 대통령, 통일부에 개성공단 완제품 및 원부자재 반출 위한 회담제의 지시

▲2013년 5월15일, 北 중앙특구개발지동총국 대변인, 회담 제의 사실상 거부

▲2013년 5월15일, 北 "3일 우리 인원 최종 귀환시 완제품 및 원부자재 반출 허용" 주장

▲2013년 5월16일, 北, 입주기업에 팩스 보내 "완제품 및 원부자재 반출 허용, 일정 제시" 주장

▲2013년 5월18일, 北,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재차 팩스 전송

▲2013년 5월23일, 北, 6·15선언 13주년 기념행사 개성 또는 금강산에서 공동개최 제안

▲2013년 5월27일, 정부 "北 6·15행사 공동개최 제의, 수용 불가"

▲2013년 5월28일, 北 "개성공단 기업인 방북시 정부인사 방북 수용" 의사 표명

▲2013년 5월31일, 박근혜 대통령 "北, 민간 아닌 정부와 대화해야 한다" 강조

▲2013년 6월6일, 北, 개성공단 정상화·금강산관광 재개 회담 제의, 통일부, '긍정적' 수용 의사

▲2013년 6월7일, 北, 판문점 연락통로 개통, 9일 개성서 실무접촉 제의, 통일부 '판문점'으로 수정 제의

▲2013년 6월8일, 北, 판문점 실무접촉 개최 동의

▲2013년 6월9일, 남북,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실무접촉

▲2013년 6월10일, 천해성 통일부 통일정책국장, '12일 남북 당국회담' 명칭 확정 등 실무접촉 결과 발표

▲2013년 6월11일, 통일부 "北, 우리 대표단 수석대표 급 문제삼아 당국회담 무산"

▲2013년 6월21일, 정부 "北 당국간 실무회담 나와 입주기업 문제 해소해야"

▲2013년 7월3일, 개성공단 기계전자부품소재기업 비대위, 국내외 지역으로 개성공단 설비 이전 발표

▲2013년 7월3일, 北, 개성공단 입주기업, 공단관리위 관계자 방북 허용

▲2013년 7월4일, 남북, 6일 개성공단 정상화 위한 실무회담 개최 합의

▲2013년 7월6일, 개성공단 정상화 위한 남북 1차 실무회담 판문점서 개최

▲2013년 7월6일, 남북, 10일 2차 실무회담 개최 및 개성공단 설비점검 진행 합의

▲2013년 7월10일, 개성공단 정상화 위한 남북 2차 실무회담 개최, 개성공단입주업체 설비점검 방북

▲2013년 7월10일, 남북 2차 실무회담 합의문 없이 종료, 15일 3차 회담 개최

▲2013년 7월15일, 남북 3차 실무회담 개최, 의류·섬유 입주기업 물자 반출 시작

▲2013년 7월15일, 남북 3차 실무회담 합의문 없이 종료, 17일 4차 회담 개최

▲2013년 7월17일, 남북 4차 실무회담 합의문 없이 종료, 22일 5차 회담 개최

▲2013년 7월22일, 남북, 5차 회담서 합의서 수정안 교환, 25일 6차 회담 개최

▲2013년 7월25일, 남북, 6차 회담 사실상 결렬

▲2013년 7월25일, 北 박철수 단장 "공업지구 파탄되면 공단에 군부대 복원" 위협, 통일부 "北, 진정성 태도 없으면 중대 결정"

▲2013년 7월26일, 개성공단 정상화 촉구 비대위, 통일부 방문 및 긴급회의 소집

▲2013년 7월26일, 통일부-개성공단기업協 간담회

▲2013년 7월28일, 통일부, 北에 '마지막 회담' 제안, 통일부-개성공단기업協 간담회

▲2013년 7월29일, 통일부, 판문점 채널 통해 北에 마지막 회담 제안

▲2013년 8월4일, 통일부 "北, 말과 행동으로 의지 보여줘야"

▲2013년 8월7일, 통일부, 남북경협보험 보험금 지급 방침 발표

▲2013년 8월7일, 개성공단 정상화 촉구 비상대책위원회, 궐기대회 개최

▲2013년 8월7일, 北 "7차회담 14일 개최" 제안, 통일부 '수용'

▲2013년 8월8일, 개성공단 입주기업, 남북경혐보험금 수령 시작

▲2013년 8월14일, 통일부, 남북 7차 실무회담 합의문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