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이 14일 국정원 대선 의혹 사건 국정조사 증인으로 불출석한 것에 대해 여야는 책임공방을 벌였다.
새누리당은 동행명령장을 발부해야 한다면서 두 증인에 대해 고발 조치 등을 취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반면, 민주당은 이날 두 증인이 불출석한 이유 중 하나가 새누리당이 관여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새누리당 유일호 대변인은 이날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 “김 전 청장의 경우 공판이 있어서 출석이 어렵다는 거니까 기다릴 수 있다고 본다”며 “다만 21일에 확실히 나와야 하는데 여야가 합의한 날까지 안 나온다면 국회법에 따라 동행명령장을 발부할 수도 있을 것이고 불응한다면 국회법 절차에 따라 고발을 하는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건강상의 이유로 불출석하겠다고 밝힌 원 전 원장이 21일에도 같은 이유를 들어 불출석할 경우에 대해 “23일날 국정조사 보고서를 채택하기로 돼 있기 때문에 아무리 건강상의 이유라 하더라도 무제한 기다릴 순 없다”며 “긴급한 수술을 그날 해야 한다거나 하는 게 아니라면 건강상의 이유라고 해서 무조건 다 들어주는 건 아니다”라고 밝혔다.
반면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이날 서울광장 천막당사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진실을 두려워하는 권력의 보이지 않는 손 의혹을 지울 수 없다”며 “국정원 불법대선개입 진실의 벽이 높다는 것 절감한다”고 이야기했다.
김 대표는 “집권 여당인 새누리당이 마음만 먹으면 원세훈, 김용판 증인 출석은 얼마든지 가능하다”며 “그런데 염려대로 우려대로 두사람은 합당한 이유없이 청문회 나오지 않겠다고 버티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