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민주당 홍익표 원내대변인의 ‘귀태(鬼胎)’(태어나지 말아야 할 사람이 태어났다는 뜻) 논란과 관련 “국민 모독”이라고 비난하면서 총공세로 돌아섰다. 일단 새누리당은 원내 일정을 잠정 중단한 채 홍 원내대변인의 발언 취소와 사과, 거취 표명을 요구했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에게도 사과 등 함께 책임 있는 조치를 주문했다. 국회 차원에서도 홍 대변인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홍 대변인은 지난11일 ‘기시 노부스케와 박정희’라는 책을 소개한 뒤 박정희 전 대통령을 ‘태어나지 않아야할 사람’이라는 뜻의 ‘귀태(鬼胎)’ 박근혜 대통령을 ‘귀태의 후손’이라고 원색적으로 비유했다.
황우여 대표는 12일 오전 국회 본청에서 열린 긴급 최고위원회의에서 “개인 정치인이 아니라 당직자로써 발언을 한 만큼 민주당은 응분의 조치를 해야 한다”면서 “당의 입장에서 한 것인지, 당직자 개인의 이야기인지 발언 경위를 소상히 밝혀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황 대표는 또 “정치는 말이다. 이번 발언은 국가원수 개인에 대한 직접적인 명예 훼손이고 모독이다. 또 국민에 대한 모독이다”며 “국가의 위신을 스스로 짓밟고 격하시키는 행위로 정치인으로서 해서는 안 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홍 대변인은 발언을 취소하는 동시에 사과해야 한다. 당도 최소한의 책임을 느끼고 당 대표의 사과와 민주당 당직자에 대한 조치를 해 달라”고 촉구했다.
아울러 “국회 차원에서 이런 발언을 국회 의원의 직분과 관련돼서 한 발언이니 만큼 응분의 조치를 어떻게 할 것인지는 양당 원내대표까지 상의해서 적절한 조치를 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최경환 원내대표 역시 “국회의원으로 정말 해서는 안 될 극언”이라며 “정치권에 몸담고 있는 사람으로서 솔직히 모욕적인 느낌을 받는 충격적인 논평”이라고 일갈했다.
최 원내대표는 “전날 전병헌 원내대표가 홍 원내대변인에게 사과를 권유했고, 홍 원내대변인은 '인격적인 모욕감을 느꼈다면 유감”이라며 은근슬쩍 넘어가는 내용을 밤늦게 문자로 보냈다“며 ”어물쩍 넘어갈 사안이 아니다“고 밝혔다.
심재철 최고위원은 “홍 대변인의 막말과 망언이 금도를 넘었다”며 “국민이 뽑은 대통령을 인정하지 못하겠다는 민주당은 심리적 불복상태에서 이런 발언이 거침없이 나온 것”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이어“우원식 최고위원은 ‘연산군’을 운운했고, 광주에서는 선거 원천 무효 투쟁과 육두문자가 나왔다. 문재인 의원은 대선이 불공정했고, 혜택을 박근혜 대통령이 받았으며 자신은 피해자라고 했다”며 “불복이라는 단어를 선택하지 않았지만 (불복을) 강하게 시사한다”고 질타했다.
정우택 최고위원은 “최근 민주당의 국민에 대한 모독 시리즈의 결정판”이라며 “민주당 김한길 대표의 사과와 함께 홍 원내대변인도 의원직에서 사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촉구했다.
새누리당 강은희 원내대변인도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홍 의원이 국민을 경악하게 하는 발언을 서슴지 않았다”며 홍 원내대변인의 사퇴를 요구했다.
그는 이어 “김한길 민주당 대표에게 묻는다”며 “민주당측에서는 지난 대선 결과에 대한 불복성 발언을 무수히 쏟아내고 있는데 이것이 민주당 전체의 뜻인가”라고 했다.
강 원내대변인은 “민주당 전체의 뜻은 아니라고 믿고 싶다”며 “그렇다면 이런 불복성 발언을 쏟아내고 있는 인사에 대해 책임있는 조치를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개인적인 의견임을 전제한 뒤 “새누리당은 홍 의원의 사퇴와 불복성 발언에 대해 민주당의 책임있는 조치가 없다면 국회의 모든 활동에 대해 투쟁할 것”이라며 “지금부터 국회의 모든 상임위와 관련된 활동을 전면 중단할 수 있다”고 밝혔다.
새누리당은 이날 ‘귀태’발언 파문과 관련, 모든 원내 일정을 전면 중단키로 했다. 이에 따라 앞서 오전 10시에 예정됐던 2007년 남북정상회담 관련 자료 열람위원간 상견례, 같은 10시에 예정됐던 공공의료 국정조사 특위 회의가 열리지 않았고 오후 2시에 열기로 한 환경노동위의 가습기 피해구제 관련법 공청회도 파행을 겪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