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이른 더위에 전력난까지 예상되어 더위를 이겨내기 위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지금처럼 냉장고와 에어컨, 선풍기가 없던 옛날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 더위를 이겨냈을까? 동의보감에 나와 있는 더 전문적인 지식을 조금만 알아두면 여름철 갑작스러운 배탈이나 감기, 식욕저하, 기력저하로 시달리는 일은 없을 것 같다.
한 번 더위를 먹게 되면 세월이 흐른 뒤 다른 곳이 아프거나 병에 걸려도 이전에 더위를 먹어 기력이 손상된 것이 회복되기 전까지는 좀처럼 낫지 않는다. 뜨거운 공기에 모공이 열리고 피부가 늘어지면 양기의 소실이 생겨나게 되어 일사병이 되는 것인데 일사병을 막기 위해 먹을 수 있는 것이 바로 인삼이다. 요즘은 인삼을 먹을 뿐만 아니라 인삼보다 월등히 질이 좋은 산양산삼을 영양주사처럼 쉽게 맞아서 일사병을 예방할 수도 있다.
여름철 감기를 한방에서는 ‘서풍’이라 하는데, 개도 안 걸린다는 오뉴월 감기가 이것이다. 치료가 잘 안 되면 냉방병의 시초가 되기도 한다. 여름이라고 우리 몸의 전부가 뜨겁기만 한 것은 아니다. 여름에는 우물물이 더 찬 것처럼 우리 몸의 겉은 더워도 뱃속은 더 차다.
이런 원리에 입각하여 여름철 감기를 치료해야 탈이 나지 않는다. 뱃속 체온까지 떨어뜨리는 해열제를 무분별하게 처방받는 것은 몸에 해로울 수 있다. 흔히 여름이 되면 얼음을 동동 띄운 오미자차 등 시원한 음료를 찾기 마련이다. 뱃속이 찬 데 아이스크림이나 얼음음료를 많이 섭취하게 되면 장에 탈이 날 수밖에 없다.
또한 음식이 쉽게 상하고 변질되기 때문에 장염은 여름철 단골손님이다. 유난히 배탈과 설사로 탈진을 하여 병원을 찾는 환자가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한방에서는 찬 음식을 먹고 탈이 났을 때 백편두를 약에 넣어서 사용했다. 같은 처방이라도 여름철에는 습기가 많은 것을 고려하여 창출을 더 넣고, 뱃속이 찬 것을 고려하여 더위를 발산시키는 백편두와 향유를 더 넣어 치료법을 달리했다.
같은 질병이라도 계절에 따라, 체질에 따라 한방에서는 처방을 다르게 한 것이다. 이는 약재 하나하나를 세심하게 고려하여 치료했던 한방의 우수성이며, 수백 년이 지난 지금에도 매우 유용하고 고마운 유산이다.
글 : 생명나눔 한의원 안소미 대표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