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부삼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25일 “우리의 NLL 북방한계선도 수많은 젊은이들이 피로 지키고, 죽음으로 지킨 곳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면서 “이 자리에 있는 우리 국무위원들이나 대통령인 저도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의 뜻이 헛되지 않도록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를 두고 박 대통령이 전날 국가정보원이 공개한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에서 NLL과 관련한 고(故)노무현 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드러낸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낳고 있다.
박 대통령은 “6·25는 우리 민족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줬고, 아직도 국군포로와 상이용사, 이산가족을 비롯한 많은 분들이 전쟁이 남긴 고통 속에 살고 있다”며 “그런데 이런 사실을 왜곡해서 북침이니 하는 말이 나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왜곡된 역사인식은 교육현장에서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며 “나라를 지키기 위해 모든 것을 희생하고 피로 지킨 자유민주주의와 대한민국의 역사를 왜곡하는 일은 결코 용납될 수 없다. 그것은 역사와 국민들에게 죄를 짓는 일”이라고 말했다.
참전용사들에 대해서는 “이제 연로하셔서 삶이 얼마 남지 않았다. 그분들의 유일한 꿈은 후손들의 마음에 본인들이 나라를 지켜온 희생이 왜곡되지 않고, 오래 기억되는 것을 바라고 계셨다”며 “정부 각 부처는 전몰장병 유가족과 생존해 계신 참전용사들에게 보다 많은 관심과 지원을 펼쳐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지금 마른장마라고 하는데 우리가 자연재해를 막을 수는 없지만 예방을 철저히 한다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는 있다”며 “2011년 우면산 산사태가 났을 때 현장에 가봤다. 제대로 예방하지 않고 땜질식 처방이 얼마나 큰 화를 불렀는지 절감했다”고 언급했다.
박 대통령은 또 “얼마 전 4대강으로 인한 피해로 물값 인상 이야기가 있었다”며 “앞으로 각 부처에서 국민의 삶과 직결되는 문제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파악한 후에 투명하게 국민에게 먼저 알리고 배경 설명도 충분하게 한 후에 실시 여부를 결정해주기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