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우 기자 2022.04.19 07:33:00
[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어제 전국 고검장 회의에 이어 오늘(19일) 오후 7시 서울중앙지검에서 전국 평검사 회의가 열린다.
전국 단위로 평검사 회의가 열리는 것은 2003년 참여정부 당시 강금실 법무부 장관의 인사 방침 관련 논의 이후 19년 만이다.
이른바 ‘검수완박’을 둘러싼 검찰 내 반발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평검사들까지 동참할 경우 여당과의 극강 대치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 정부 들어 지난 2020년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에 대해 직무 배제를 조치하며 평검사 회의가 열린 적이 있지만, 이는 일선청 수석급 평검사를 중심으로 진행된 만큼 규모 면에서 다르다.
전국 18개 지방검찰청, 42개 지청 150여명의 대표가 참여하는 이번 평검사 회의에서는 민주당이 처리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검수완박’ 입법에 대한 대응 방안이 집중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날 회의에서는 전날 나온 검찰 지휘부의 대응 방침에 대한 평검사들의 의견을 들을 수 있는 자리도 마련될 전망이다.
전날 고검장들은 문재인 대통령이 김오수 검찰총장에게 "총장이 검사들을 대표해 직접 의견을 제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당부를 전달한 사실이 알려지자, "총장을 중심으로 국회 논의 과정에 적극 참여하여 법안의 문제점을 충분히 설명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김 총장이 검수완박에 반대하며 17일 사퇴 의사를 표명했지만, 18일 문 대통령이 면담에 응하며 고검장들의 대응 수위는 항의성 사퇴에서 '적극 의견 개진'으로 선회하는 모양새다.
하지만 이날 평검사들이 고검장들 입장과 이견을 보이며 적극적인 집단행동에 돌입할 경우 민주당과의 강대강 대치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평검사들은 회의가 시작하기 30분 전께 평검사 대표가 중앙지검 기자실에서 회의 개요와 경위 등을 설명할 방침이다. 회의가 끝나면 입장문과 질의응답 등 취재에도 적극 응할 계획이다.
평검사 회의 간사를 맡은 김진혁 대전지검 검사는 전날 고검장 회의 결과가 나오기 전 "면담 결과가 회의에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까지 알 수 없다"면서도 "오늘까지 청별로 의견을 수렴한 뒤 (회의를)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