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오늘(14일)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조정여부 결정

4%대 물가·미국 긴축·새정부와 공조...인상 가능성
尹, “물가‧민생안정 대책 새 정부의 최우선 과제”

김철우 기자  2022.04.14 08:33:19

기사프린트

[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14일 오전 9시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현재 1.25%인 기준금리의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4%를 넘어선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예상보다 빠른 긴축가능성, 새 정부와의 정책 공조 등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무엇보다 최근 인플레이션 지표는 한국은행이 방치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국제유가가 급등하면서 3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무려 4.1% 뛰었다. 4%대 상승률은 2011년 12월(4.2%) 이후 10년 3개월 만에 처음이다.

 

한은의 3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향후 1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 값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도 2.9%에 이르렀다. 한 달 새 0.2%포인트 또 올랐는데, 2014년 4월(2.9%) 이후 7년 11개월 만에 가장 높다.

 

새 정부와의 정책 공조 측면에서도 기준금리 조정 필요성을 외면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 6일 "물가를 포함한 민생안정 대책을 새 정부의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라"고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지시한 바 있다.

 

윤 당선인이 물가안정을 최우선 국정과제로 지시한 만큼 공조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있다.

 

미국 연준의 이른바 '빅 스텝'(한꺼번에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가능성도 주요 고려 대상이다.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격차는 현재 0.75∼1.00%포인트 한국이 높다. 하지만 연준이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부터 잇따라 두 차례만 0.5%포인트씩 기준금리를 높여도 수개월 사이 미국이 더 높은 상태로 역전될 수 있다.

 

달러와 같은 기축통화(국제 결제·금융거래의 기본화폐)가 아닌 원화 입장에서 기준금리 수준이 미국과 같거나 높더라도 차이가 크지 않으면, 외국인 투자자의 자금 유출과 원화가치 하락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자금 유출 우려는 크지 않지만 원화가치가 하락해 환율이 상승하면 수입물가가 올라가 국내 소비자물가를 자극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