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오는 5월 10일 여의도 취임식 직후 용산 국방부 청사에 마련되는 5층 임시 집무실로 이동해 국정 업무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7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정부가 집무실 이전을 위한 예비비 360억원 지출안을 의결하면서 윤 당선인이 내달 10일 취임일에 안보 공백 없이 용산에서 업무를 시작할 수 있을 거라고 밝혔다.
그러나 국방부가 관련 기관 및 부서들을 순차적으로 옮기겠다고 밝히면서 윤 당선인이 국방부 청사 '임시 집무실'에서 국정 업무를 개시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인수위 관계자는 이날 뉴시스와 통화에서 "대통령이 5월 10일 안보 공백 없이 용산에서 업무를 시작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면서도 "500여명의 말단 직원들까지 용산 집무실에서 업무를 시작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윤 당선인의 집무를 위한 공간은 마련하겠지만 취임날에 맞춰 집무동의 주요 시설을 다 갖추고 입주하긴 어렵다는 설명이다.
인수위는 이날 용산 집무를 위한 "플랜B와 C도 마련하고 있다"며 윤 당선인이 취임날 인수위 사무실로 출근하는 일은 없을 거라고 못박았다.
인수위 측에서 언급한 플랜B·C에는 기존 국방부 청사 내 대통령 집무실 위치 변경 등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윤 당선인 측은 국방부 본관 3층에 대통령 집무실을 배치하는 것으로 계획했다. 구체적인 공간 배치에 관한 공식 언급은 없었지만 윤 당선인 측에 따르면 기존 국방정책관실을 대통령 집무실로 리모델링해 사용하는 안을 검토했다.
국방부 장·차관실이 있는 2층을 사용하는 안을 고려하기도 했지만 1층을 기자실로 정하면서 보안 문제로 3층에 집무실을 마련하기로 했다는 설명이다. 전면에 시민공원을 향하는 조명도 고려한 결정이었다.
2층에는 대변인실과 비서실, 3~5층에는 대통령 집무실을 포함한 국가보안실장실, 정책실장 등 주요 보좌관 사무실이 들어설 계획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6~10층은 분야별 민관합동위원회와 회의실 등을 배치한다는 방침이었다.
그러나 국방부가 지휘 부서와 합동참모본부를 제외한 기관과 부서들을 순차적으로 옮기겠다고 밝히면서 청사 1~4층은 취임 직후 바로 사용할 수 없게 됐다. 본관 1~4층에 위치한 국방부 내 지휘 부서와 합참은 한미 연합지휘소 훈련이 종료되는 오는 28일 이후 이사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대통령 집무실은 당초 검토했던 본관 3층이 아닌 5층에 임시로 마련될 것으로 관측된다.
전날 국무회의를 통과한 예비비 지출안 항목에도 집무실 구축 직접 비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의결된 예비비는 당초 인수위가 요구한 496억에 크게 못 미친 것으로, 추후 협의하게 될 추가 예산에 집무실 구축 비용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윤 당선인이 집무실 이전 추진을 발표하면서 "대통령이 일하고 있는 모습과 공간을 국민들이 공원에 산책을 나와 언제든 바라볼 수 있게 하는 정신적 교감 자체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강조한 만큼 본 집무실은 3층 정도의 낮은 층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다.
인수위 관계자는 "취임 직후 사용하게 될 집무실이 임시가 될지 고정이 될지는 아직 보안 사항"이라며 윤 당선인이 집무 시작일에 통의동으로 출근할 가능성은 없을 거라고 단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