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우 기자 2022.04.07 09:38:41
[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0년 만에 4%대로 치솟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민생안정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지시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어제(6일) 인수위 경제관련 분과 간사단 물가 동향 보고 자리에서 "어려운 대내외 여건 속에서도 물가를 포함한 민생안정 대책을 새 정부의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라"고 주문했다.
윤 당선인은 이날 오후에도 기자들에게 "물가가 10년 만에 4.1%가 되어 민생에 대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인식을 다 같이 했다"며 민생안정 대책 마련 지시의 배경을 설명했다.
인수위 원일희 수석부대변인은 경제 관련 분과 간사들이 윤 당선인에게 3월 소비자물가가 10년 만에 4%를 웃돈 원인과 배경, 향후 국민에 미칠 파급효과 등에 대해 설명하면서 "올 상반기뿐 아니라 하반기에도 각종 경기 지표와 물가 전망이 어둡다"고 보고했다고 전했다.
물가 상승 원인에 대해서는 "거시경제 차원에서 글로벌 경제 자체가 물가 상승 압박이 매우 심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코로나19 위기로 돈이 많이 풀렸는데 전 세계적으로 위기가 끝나가는 과정에서 경기가 살아나려 해 물가가 오르는 측면이 있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가 더해져 공급망 문제로 비용 측면의 물가상승 압박이 강하다"고 부연했다.
이와 함께 간사들은 "(물가 상승 원인이) 종합적 상황이기 때문에 새 정부가 대책을 어떻게 해야 하느냐에 대해서는 딱 '이것'이라고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다"고도 언급했다.
다만 공공요금에 관해서는 이 자리에서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원 수석대변인은 밝혔다.
원 수석대변인은 "서민물가 문제가 있기에 전기요금, 가스요금, 통행료 부분을 꽉 눌러 놓은 것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종합적으로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14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결정할 기준금리에 대한 윤 당선인의 입장에 관해 묻자 원 수석부대변인은 "금리는 거시경제와도 연관이 있고 부동산, 물가와도 연관이 있다"면서도 "'올려야 된다', '내려야 된다' 할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한은법에 따르면 한은이 금리 등은 정부와 협의하게 돼 있어 종합적으로 협의해 검토하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