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정부 "고위험군 우선 치료 '패스트트랙' 도입 가능"

한지혜 기자  2022.04.04 11:56:59

기사프린트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정부가 고령층이나 기저질환자와 같은 코로나19 고위험군에 대해 우선으로 검사와 치료를 실시하는 패스트트랙 도입 가능성을 내비쳤다.

향후 신속항원검사(RAT) 양성도 확진으로 인정하는 방안의 지속 여부 등을 고려해 추후 도입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입장이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4일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비대면 브리핑에서 관련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앞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는 현행 정부의 재택치료 방침에 문제를 제기하며 고령이나 기저질환자 등 코로나19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확진 시 최우선적으로 검사·치료를 실시하는 패스트트랙 방안을 제안한 바 있다.

이와 관련 박 반장은 "패스트트랙은 검사체계와 진료체계가 연동돼 가야하는 부분"이라며 "질병관리청에서 향후 RAT 검사의 (양성)인정 지속 여부나 보건소의 유전자증폭(PCR) 대상자 문제 등의 방향성을 고민하고 있어 여기에서 패스트트랙도 함께 고민할 것"이라고 밝혔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도 "일반의료체계의 전환에서 가장 주력하는 부분이 고위험군의 조기진단과 신속한 처방"이라며 "현재도 패스트트랙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체계를 짜고 있고 보완할 부분이 있다면 신속히 보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일상 의료체계로 계속해서 전환시킬 것이고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는 고위험군을 얼마나 빨리 진단하고 치료제를 투여하느냐가 가장 큰 관심사이고 목표"라고 부연했다.

정부는 이날부터 동네 의원에 대해서도 '외래진료센터'로 지정해 코로나19 확진자를 대면 진료할 수 있도록 방침을 바꾼 것과 관련해서는 새로운 거리두기 방침과 관계없이 추후 논의를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박 반장은 "그동안 재택치료 부분에 대해 일반 대면 진료를 하는데 있어서 집중관리군과 일반관리군의 이동 문제 등 어려움이 있었다"면서 "거리두기 상황과 꼭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것은 아니고 일반진료로 완전한 전환을 위해 재택치료 기간에 대한 고민은 있을 것이고 질병청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현행 7일인 재택치료 자가격리 기간을 축소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미국과 영국을 포함한 해외에서는 확진자의 자가격리 기간을 5일로 단축한 바 있다.

박 반장은 "재택치료 대상자에 대한 격리기간 범위는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부터 오는 17일까지 2주간 사적모임은 최대 10명, 식당·카페 등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은 밤 12시까지로 연장하는 새로운 거리두기 조정안이 시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