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선 75일 앞 사퇴 요구는 선관위 업무 마비시키는 처사"
"선거 부실 원인·책임 규명하고 지선 준비 만전 기해야"
[시사뉴스 유한태 기자] 19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노정희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을 향한 사퇴 압박을 두고 "중앙선관위의 정치적 중립을 훼손하려는 행위는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행안위 위원들은 이날 성명서를 통해 "현재, 선관위의 정치적 중립을 훼손하려는 시도들이 있다. 선관위원장 사퇴를 포함한 선관위 전체를 흔들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특히 이들은 "지방선거가 75일 앞으로 다가왔다"면서 "현재 중앙선관위 상임위원 2석이 공석인 상황에서 노 위원장에 대한 사퇴 요구는 중앙선관위 업무를 마비시키는 처사"라고 강조했다.
선거관리위원회법 제5조에 따르면 위원장이 사고가 있을 경우 상임위원이, 위원장·상임위원이 모두 사고가 있을 때에는 위원 중에서 임시위원장을 호선해 직무를 대행한다.
이들은 "위원장 사퇴시 일반위원으로 검증된 임시위원장이 중앙선관위를 대표하는 문제가 발생해 책임성 논란이 발생한다"며 "재적위원 6명으로 구성된 위원회의는 개의(재적위원 과반수 출석) 및 의사결정이 불가능할 수 있는 등 지방선거 준비에 막대한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노 위원장은 선거 부실 관리 원인과 책임을 명확히 규명하고, 신속하게 선관위를 재정비해 지방선거 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며 "대선은 종료됐지만 선관위의 선거 부실 관리 논란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선관위는 이번 일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일신의 계기로 삼아 국민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선관위가 약속한 조치를 국민들이 납득하실 수 있도록 책임지고 수행하기 바란다"며 "원인 규명을 통해 선거 부실 관리가 밝혀진 곳은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중앙선관위는 지난 17일 전체회의 후 내부 공지를 통해 ▲사무차장 직무대행체제 운영 및 선거정책실장·선거국장 교체 ▲원인·책임 규명, 재발방지대책 강구를 위한 TF 구성 ▲전 사무총장 아들 특혜의혹 관련 특별감찰 실시 등 내용을 담은 '신속한 조직 안정화 및 지방선거 완벽 관리를 위한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노 위원장은 이번 대통령선거 코로나19 확진·격리자 사전투표 부실 관리 문제로 안팎에서 사퇴 압박을 받아 왔지만, "지방선거를 흔들림 없이 준비하겠다"며 사퇴 거부 의사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