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김부겸 국무총리는 16일 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의료체계 변화와 관련해 "방역당국에서는 일상적 의료체계에서도 코로나 대응이 가능하도록 현재 1급으로 지정된 감염병 등급을 변화된 상황에 맞게 조정하는 방안을 의료계와 함께 논의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 모두 발언에서 "이미 국립대병원 10여 곳과 여러 대형병원에서는 개정된 지침에 따라 원내감염 없이 입원 중인 확진자를 일반병실에서 치료하고 있다"며 이렇게 주문했다.
그러면서 "이제 일반의료체계에서도 코로나 치료에 힘을 보태줘야 한다"며 "기존의 고정 관념에서 벗어나 변화에 동참해 주실 것을 의료계에 간곡히 요청드린다"고 했다.
현재 법정감염병 등급 1급으로 지정돼 있는 코로나19의 등급을 하향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을 공개 주문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행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는 1급 감염병의 경우 신고와 격리 수준을 엄격히 규정하고 있다. 오미크론 장기화에 따른 일반의료체계의 과부하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조정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 총리는 "누적 확진자의 30%를 넘는 인원이 최근 1주일 사이에 감염될 정도로, 오미크론 확산세가 절정에 이른 모습"이라며 "전문가들은 곧 정점을 지나게 될 것으로 예측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간 우리는 방역정책의 목표를 위중증과 사망 최소화에 두고, 방역과 의료체계 전반을 개편하면서 지금의 상황에 대비해 왔"며 "방역과 의료현장, 학교, 사업장, 가정 등 일상 곳곳에서 준비해 온 것들을 잘 실행하면 머지않아 회복의 시간이 다가올 것"이라고 했다.
김 총리는 " 오미크론의 위험을 너무 가볍게 보는 것도 경계해야 한다"면서 "최근에는 증상이 있어도 검사를 받지 않거나, 확진돼도 격리수칙을 잘 지키지 않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나 자신과 가족의 건강, 우리 공동체의 안전은 물론, 하루라도 더 빠른 일상회복을 위해 기본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해 주실 것을 다시 한번 강조드린다"고 당부했다.
김 총리는 "2월말부터 요양시설 입소자와 면역 저하자 등 고위험군에 대한 4차 접종을 시행 중이지만 아직 접종률은 10%도 되지 않는다.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는 미접종자의 접종률도 한달 전에 비해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다"며 고위험군과 미접종자의 접종을 독려했다.
그러면서 "이번 주말로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종료된다. 정부의 일관된 거리두기 조정원칙은 ‘방역과 민생’의 균형점을 찾는 것"이라며 "현재의 방역상황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각계의 의견을 들어 금요일 중대본에서 결정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