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수요 회복따라 단계적 노선 재개
노선·운항허가 등 까다로운 절차 남아
[시사뉴스 김도영 기자] 방역 당국이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완료한 해외입국자에 대한 자가 격리를 면제하면서 여행 수요 회복에 대한 항공업계의 기대감이 커졌다. 항공업계는 정부의 정책을 환영하면서도 완전한 여행 재개를 위해서는 당국의 국제선 운항허가 등 큰 산이 남았다고 평가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11일 정례 브리핑에서 "21일부터 국내와 해외에서 접종을 완료하고 접종 이력을 등록한 자에 한해 7일 격리를 면제한다"고 밝혔다. 현재 방역당국은 해외 입국자에게 입국 전 유전자증폭(PCR) 음성확인서 제출을 요구하고, PCR 검사 결과가 음성으로 나왔어도 7일간 자가격리를 의무화하고 있다.
항공업계는 정부의 이번 조치를 환영하고 있다. 자가격리를 면제해주는 트래블버블(여행안전권역) 국가인 싱가포르, 사이판 등 항공편 탑승률은 현재 만석에 가까울 정도로 높아 항공편을 띄우기 시작하면 빠르게 여행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보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에 따르면 사이판 노선의 평균 탑승률은 66%다. 항공기 좌석 점유율을 70% 이하로 제한하는 점을 감안하면 94% 수준이다. 설 연휴 동안에는 평균 탑승률이 98%까지 올랐으며 향후 더욱 상승할 전망이다.
업계는 코로나19 추이를 보며 여행 수요 회복에 따라 단계적으로 국제선 노선 운항을 재개할 방침이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자가격리 면제로 여행 수요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라며 "현재는 운항 스케줄대로 진행할 계획이며 향후 추이를 지켜보며 노선 재개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업계는 정부의 항공 허가 기준이 까다로워 3~4월 주요 항공사가 부정기 운항계획을 수립해도 빨라야 5~6월이 돼야 항공편 운항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항공사가 특정 노선에 항공기를 정기적으로 띄우려면 국토부의 노선 허가를 받아야 한다. 허가받은 노선에 항공기를 제때 투입하지 못하는 상황에는 '노선 휴지'를 신청할 수 있다. 휴지신청 이후 6~12개월 이내에 끝내 운항을 재개하지 못하면 노선은 폐지된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폐지된 노선이 많아 기업들은 노선 허가와 운항 허가를 다시 받아야한다. 현재 국토교통부 외에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허가까지 받아야하며 신청 기간도 기존 6개월에서 1개월에 한 번으로 감소했다. 운항 허가를 획득해도 운임신고 등 추가 절차를 거쳐야한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해외입국자 자가격리는 면제됐으나 운항허가 획득 등 추가 절차로 인해 단기간에 국제선 운항이 재개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제 해외여행 재개를 위한 첫 단추를 꿴 것이고 온전한 여행 재개를 위해서는 노선 확대에 대한 당국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