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일본 기시다, 윤석열 당선에 "진심 축하…긴밀한 의사소통 중요"

홍경의 기자  2022.03.10 11:35:26

기사프린트

 

"韓 새 정권과 대화하고파" 의사소통 의지 밝혀
"한일 관계 방치 안돼…관계 개선 위해 긴밀 협력"
"日, 일관된 입장에 근거" 韓에 적절 대응 요구는 유지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는 10일 제20대 대통령으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당선된 데 대해 축하의 뜻을 밝히고 의사소통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NHK, 니혼게이자이 신문(닛케이)에 따르면 기시다 총리는 이날 도쿄(東京)에서 기자들에게 "윤 차기 대통령의 선출을 환영하고 진심으로 축하를 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국제사회가 시대를 구분하는 듯한 큰 변화 속에 맞닥뜨리고 있다"며 "건전한 일한(한일) 관계는 규정에 근거한 국제질서를 실현하고, 지역과 세계의 평화와 안정, 번영을 위해 불가결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한미일의 협력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1965년 일한 국교정상화 이래 쌓아온 일한의 우호 협력 관계기반에 입각해 일한 관계를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기시다 총리는 "윤 차기 대통령의 리더십에 기대하겠다. 일한 관계 개선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방안에 대해 질문받자 "일한 관계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지만, 이대로 방치할 수 없다"며 "나라와 나라의 약속을 지킨다는 것은 기본이다. 일본의 일관된 입장에 근거해 건전한 관계로 회복하기 위해 새로운 대통령과 새 정권과 긴밀히 의사소통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기시다 총리는 그러면서도 "새 정권의 움직임도 보고 싶으며, 새 정권과 대화도 해 보고 싶다"며 의사소통에 대한 기대를 드러냈다.

일본 정부는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배상 판결 등 문제가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을 위반한다는 주장을 고수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측이 국제법을 위반했으니 해결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윤 당선인이 취임하더라도 이러한 '공은 한국에 있다'는 방침을 바꾸지는 않겠다는 입장으로 읽힌다.

닛케이는 "나라와 나라의 약속을 지킨다는 것은 기본"이라는 기시다 총리의 이번 발언이 사실상 파기된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를 염두에 둔 지적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마쓰노 히로카즈(松野博一) 관방장관도 지난 9일 기자회견에서 한국의 대선과 관련 "중요한 이웃나라인 한국의 차기 대통령을 결정하는 선거이기 때문에 당연히 주목하고 있다"면서 "향후 일한(한일) 정상회담 예정은 아무것도 결정되지 않았으나 (한국 대선 결과가) 어떻든, 일한 관계를 건전한 관계로 되돌리기 위해 일본의 일관된 입장에 근거해 한국 측에 적절한 대응을 요구하겠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