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표 앞두고 재택 치료자 '20만명' 급증
6시 이후 일반 유권자 투표 끝나야 시작
확진자들 "모두 투표할 수 있을까" 우려
방대본 "확산 있겠지만 우려 수준 아냐"
선관위 "확진자 참정권 보장 대책 점검"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제20대 대통령선거 본투표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코로나19 확진자와 격리자를 중심으로 지난 5일 사전투표일의 혼잡이 재현돼 투표 권리 행사에 지장이 생길까 불안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에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는 지시만 잘 따라준다면 괜찮다며 진화에 나섰다.
질병관리청 방대본에 따르면 8일 0시 기준 재택 치료 중인 확진자는 116만3702명이다. 이 중 투표를 할 수 있는 만 18살 이상은 88만명 내외일 것으로 예상된다. 전날 새로 재택 치료로 배정된 확진자는 19만4598명에 달해 본투표일에 몰릴 확진자·격리자의 숫자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확진자와 격리자는 방역당국의 외출 허가를 받아 당일 오후 6시부터 오후 7시30분까지 투표할 수 있다.
하지만 오후 6시까지 일반 유권자들의 투표가 끝나지 않으면 확진자·격리자 투표는 시작될 수 없다.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확진자와 격리자는 일반 유권자가 모두 퇴장해야 투표를 시작할 수 있다.
여기에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지난 사전투표율을 감안하면 본투표에도 많은 인원이 몰릴 것이란 관측이 나오면서, 확진자·격리자 투표를 앞두고 있는 이들 사이에서 불안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서울 노원구에서 확진자 투표에 나설 예정인 허모(26)씨는 "사전투표날에 투표를 하지 못하고 돌아왔다는 후기가 많던데, 내일은 제대로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며 "그 많은 확진자가 우르르 몰려들 텐데 소독이나 거리두기 등 방역을 철저히 하면서 신분도 확인하는 복잡한 절차들이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을지 걱정이다. 확진자가 모두 제시간 안에 투표를 마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서울 강북구에서 확진자 투표에 나선다는 이모(28)씨도 "사전투표 때 부정투표 논란이 많아 걱정했는데, 일단 투표부터 할 수 있을지 걱정이다"라면서 "확진자가 모두 거리로 쏟아져 나와 한곳으로 향한다는 생각을 하면 벌써부터 불안하다. 걸어오거나 방역 택시, 자차를 이용하라던데 모든 확진자가 동시에 출발해서 짧은 시간 안에 걷거나 혹은 제한된 숫자의 방역 택시를 타고 제시간에 도착할 수 있을까. 그냥 포기하는 사람도 많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온라인에서도 확진자 투표를 앞둔 네티즌을 중심으로 불안하다는 반응이 나온다.
광주의 한 맘카페 회원은 "다른 확진자들이 과연 정해진 시간에 나올까? 비확진자들은 투표하면서도 불안에 떨겠다"고 전했다. 충남 천안의 한 맘카페 회원도 "신속항원검사 결과 양성인데, 병원에서 받은 PCR 검사 결과는 모레 나온다고 한다"며 "그럼 내일 투표는 6시 이후에 가야 하는 건지, 그전에 가야 하는 건지 모르겠다"고 적었다.
다른 네티즌들 사이에서도 "사전투표날 확진이 되는 바람에 투표를 못 했다. 본투표 날에 그냥 가면 되는지 모르겠다", "확진자와 비확진자가 한곳에 모인다니 혹시나 피해를 줄까 불안하다. 아예 확진자 투표 시간을 확 늦췄으면 좋겠다" 등의 반응이 나왔다.
이같은 우려가 확산되자 박영준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이날 오후 기자단 설명회에서 "외출로 인해 전파 규모가 일부 커질 수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외출 시 가이드라인을 충실히 지켜달라고 한 것과 현장 점검이 동반된다면 확산이 우려 수준까진 가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노정희 선관위원장도 같은날 경기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청사에서 대국민 담화를 통해 앞선 사전투표 관리 부실 논란에 사과하고 "코로나19에 확진됐거나 격리 중인 유권자를 위한 참정권 보장 대책도 재점검했다"면서 "모두가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투표할 수 있도록 일반 유권자의 투표가 끝난 후 투표가 가능한 점에 대해 양해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