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정부는 코로나19 병상 운영을 효율화하면 위중증 환자를 최대 2500명까지 감당할 수 있다고 밝혔다.
박향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8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확진자는 증가하고 있지만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는 관리 가능한 범위 내에서 유지하고 있다"며 "정부의 지속적인 병상 확충 결과 위중증 환자 약 2000명까지 안정적인 대응이 가능하고 병상 운영을 효율화할 경우 위중증 환자 2500명까지도 감당이 가능하다고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정부가 보유한 코로나19 병상은 총 4만9553개다.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작했던 지난해 11월1일과 비교하면 1만7855개실이 늘었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이 병상들은 즉시 사용 가능한 상태를 전제로 몇 배의 입원료에 해당하는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병상들"이라며 "혹여나 의료기관 인력 문제에 대비해 중앙에서 보충을 하고 있어서 전반적으로 큰 문제없이 안정적으로 운영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단 유행 증가에 따라 위중증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날 0시 기준 위중증 환자는 1007명이다. 지난 1월3일 1015명 이후 64일 만에 1000명을 다시 넘었다.
병상 가동률의 경우 전국 코로나19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은 59.6%로 총 병상 2751개 중 1640개가 사용 중이다. 수도권 가동률은 55.7%로 857개 병상이 사용 가능하다.
지난해 12월 중환자의학회에서는 한정된 중환자실 여건을 고려해 중환자실 입원 우선순위를 논의해야 한다고 제안한 바 있다.
박 반장은 "국가감염병임상위원회에 중환자분과에서 안건으로 논의하도록 했다"며 "중환자학회가 위원으로 함께하고 있기 때문에 관련 논의가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수도권 중환지실은 전날(69.1%)에 이어 68.8%의 가동률을 기록해 남은 병상은 254개에 불과하다. 중환자실 가동률이 80%를 초과하면 사실상 포화상태로, 병상수가 적은 비수도권이 위험수위에 도달하고 있다. 권역별로는 ▲호남권 86개 ▲충청권 52개 ▲경북권 47개 ▲경남권 42개 ▲제주권 14개 ▲강원권 13개가 남았다.
손 반장은 "지역에 따라 일부 중환자실 가동률이 80%를 넘는 곳은 생길 수 있다"며 "권역으로 묶어서 배정을 하거나 병상 운영을 더 효율화하는 식으로 대응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63.1%로 1564개 병상이 남아 있다.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은 전국 2만2465개 중 1만262개가 사용 중으로 45.7%의 가동률을 보인다. 재택치료가 힘든 무증상·경증 환자들이 입소하는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은 23.0%로 1만5475명이 입소 가능하다.
정부는 병상이 포화 상태에 이르지는 않았다는 입장이다.
손 반장은 "의료 현장에 계신 분들과 간담회를 해도 이럴 것(포화 상태가 될 것) 같다고 하는 분위기는 잘 못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병상 효율화를 위해 일정 기간 격리 입원으로 바이러스 전파력이 떨어졌다고 판단하면 일반 병실로 전원하는 지침을 지난 4일부터 기존 중증병상 외에 준중증 병상과 중등증 병상까지 확대 적용했다.
손 반장은 "고령층 확진자의 보호자 인력을 추가로 요청할 경우 중수본에서 요양보호자 등 인력을 보내드리고 있다"며 "아직 충분하지는 않은 것 같다. 각 상황별로 맞춰서 보완할 수 있는지 확인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격리 해제 이후 위중증 환자의 치료비 지원에 대해 손 반장은 "코로나19의 직접적 증상이나 바이러스 배출에 의한 후유증은 의료 현장 판단에 따라 국가가 지원하지만 감염이 종료됐다고 판단한 순간부터는 별도 질환에 대해 통상적으로 일반 국민과 같이 본인부담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손 반장은 "다만 일률적으로 구별이 쉽지 않기 때문에 의료 현장에서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서 계속 격리가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격리가 지속될 경우에는 기간이 경과됐다 하더라도 모든 비용을 국가가 지원하는 쪽으로 운영하고 있는 중"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