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정부, 산불진화·피해 수습 위해 34.2억 특별교부세 긴급 지원

홍경의 기자  2022.03.07 16:41:12

기사프린트

 

전해철 장관 주재 '산불 대응 중대본 회의' 개최
"산불 대응 불리한 조건"…재난특교 34.2억 지원
주민 504세대 580명 대피…218건 심리상담 실시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정부가 산불의 조기 진화와 피해 수습을 위해 34억2000만원 규모의 재난안전특별교부세를 긴급 지원했다.

이재민 138명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거쳐 최소 1년간 무상 거주할 수 있는 임시조립주택을 우선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7일 오후 전해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본부장 겸 행정안전부 장관 주재로 중대본 회의를 열어 산불 대응·수습 대책을 논의했다. 

이 회의에는 행안부를 비롯해 기상청·산림청·소방청·교육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방부·문화체육관광부·농림축산식품부·산업통상자원부·보건복지부·환경부·국토교통부·경찰청·문화재청 등 15개 부처와 경북도·강원도·울진군·삼척시·동해시 등 5개 지방자치단체가 참석했다.

기상청은 경북과 강원 지역의 기상 상황을, 산림청과 소방청은 전국적인 산불 대처 현황 및 계획을 각각 공유했다.

현재 강원·경상권 중심으로 건조특보, 동해안에는 건조경보가 각각 발효 중으로 산불 대응에 다소 불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겨울철(2021년 12월~2022년 2월) 강수량은 13.3㎜, 강수일수는 11.7일로 1973년 이후 가장 적다. 평년 대비로는 강수량은 75.7㎜(14.7%), 강수일수는 7.8일 각각 적다.

이날 오전 11시 기준 전국적으로 4개 산불에 대한 진화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동원된 인력은 1만7940명, 장비로는 헬기 86대·지휘진화차 131대·소방차 650대 등이다. 인명 피해가 우려되는 울진·삼척과 강릉·동해 지역에 대형 헬기 등 진화자원를 우선 투입한 상황이다.

오후 1시 기준 진화율은 울진~삼척 50%, 강릉~동해 90%, 영월 50%, 대구 달성 40%이다. 
    
뒤이어 행안부가 이재민 주거 지원 및 피해 복구 계획을 밝히고 기관별 협조사항을 논의했다.

이날 오전 9시 기준 504세대 580명이 집을 떠나 임시주거시설이나 친·인척으로 긴급 대피 중이다. 이 중 이재민은 91세대 138명으로 분류됐다.

피해 주민 구호를 위해 구호물품 약 23만 점과 급식차 8대가 지원됐다. 상담가 28명을 투입해 218건의 심리 상담도 실시했다.

집을 잃은 주민에게는 수요조사를 거쳐 임시조립주택을 제공하기로 했다. 1년간 무상 거주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연장 가능하다. 입주 전까지는 연수·숙박시설이나 공공임대주택 등을 지원한다.

정부는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울진·삼척 지역에 특별재난지역을 선포한 데 이어 다른 피해 지역의 추가 선포를 검토하기로 했다.

재난안전특별교부세 34억2000만원도 긴급 지원했다. 울진·삼척·강릉·동해 4곳에 응급복구비 명목으로 25억원을, 산불 위험이 높은 92곳에는 열화상 탐지 드론(무인기) 구입비 명목의 9억2000만원을 각각 배분했다.

정부는 산불의 조기 진화를 위해 기관 간 산불 대처 상황과 자원 동원 현황을 실시간 공유하기로 했다.

특히 인명 피해 방지와 국가 주요시설·문화재 보호를 최우선 목표로 민가와 위험지역 주변 방화선 구축과 자원 전략적 배치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전 장관은 "건조하고 강풍이 부는 기상 여건상 산불 전개 양상의 가변성이 높으므로 조기 진화를 위해서는 관계부처 간 긴밀히 협력해 총력 대응해야 한다"며 "산불 진화 완료 직후 신속히 피해 수습이 이뤄지도록 관계부처별 피해 시설 복구와 주민 생활안정 지원 등 필요한 대책을 신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