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교직원 확진자가 늘어나면서 학기 초 교사 공백이 커지자 일부 교원단체가 "대체 업무 부담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성토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등교 이틀째인 3일 성명을 내고 "교사들의 방역·수업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며 "앞으로 교직원 확진이 더 늘어나면 감당할 수 없는 만큼 교육당국의 특단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교직원 확진자는 550명으로, 일주일 전 203명에 비해 2.7배 급증했다.
교육 당국은 각 시·도 교육지원청별 대체 교사 인력풀을 마련하고 기간제 교원 및 강사 채용에 대한 지침도 완화했지만, 대체 인력에 대한 수요 폭증으로 학교 현장은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다는 입장이다.
교총은 "교사가 확진돼도 강사 등 수업 대체 인력을 구하기란 꿈도 못 꿀 형편이어서 동료 교사들이 보결 부담을 고스란히 안아야 하는 게 현실"이라며 "게다가 방역·돌봄·급식·행정 인력이 확진될 경우, 교사들은 그 업무에 대체 인력 채용 부담까지 감당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교사가 교내 역학조사를 담당하는 '학교 자체조사'와 '등교 전 주 2회 자가검사 권고' 정책에 대한 비판도 쏟아졌다.
교총은 "교사들도 확진이 늘고 있는 상황에서 수십 명씩 나오는 학생들의 역학조사를 누가 하라는 것이냐"며 "자가진단키트 구성물을 2세트씩 비닐포장 소분하는 것도 교사가 직접 한다"며 키트 소분 작업은 교육지원청에서 맡아줄 것을 요청했다.
하윤수 교총 회장은 "'각자도생' 개학으로는 결코 학생 안전과 내실 있는 교육을 담보할 수 없다"며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이 중심이 돼 방역과 대체인력 지원을 책임지고, 학사운영에 대해서도 분명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