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북한 우크라 위기 틈타 군사 도발?…군사행보 가능성 주시

홍경의 기자  2022.02.22 16:05:37

기사프린트

 

러 DPR·LPR 독립 승인에 서방 규탄
美 "민스크 협정 거부"…제재 시사
日도 제재 언급…韓, 외교 해결 촉구
中측서도 '외교' 목소리 제기해 주목
북러 연대 행보 속 北반응은 미관측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러시아가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 루한스크인민공화국(LPR) 독립을 승인하면서 이들 지역에 평화유지군을 파병하기로 하자 군사 충돌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각국이 러시아를 규탄하는 가운데 북한이 이번 사태를 두고 공식 입장을 내놓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마사일 발사 재개 등  군사 행보를 보일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22일 외교가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독립 승인과 함께 우크라이나 동부 2개 지역에 평화유지군을 파병할 것을 명령했다. 

 

미국 등 각국은 이번 파병 결정을 두고 규탄과 함께 제재를 시사하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러시아 측의 독립 승인에 대해 "민스크 협정을 완전히 거부한 것"이라며 규탄 목소리를 냈다.

 

또 "바이든 대통령이 해당 지역에 대한 미국인의 모든 신규 투자, 무역 및 자금 조달을 금지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할 것"이라며 "적절 조치를 취하기 위해 우크라이나, 동맹국 및 파트너와 계속 협력할 것"이라고 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도 독립 승인을 규탄하고 추가 군사 지원 시사 언급을 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대변인이 발표한 성명을 통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


일본 또한 "국제법 위반"이라면서 비교적 강한 규탄 입장을 보였다. 또 미국 주도로 이뤄질 대러 제재에 동참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취지의 입장을 더했다.

 

한국도 이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및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 연석회의를 열어 우크라이나 상황을 점검했다. 또 "우크라이나 주권과 영토 보존은 존중돼야 한다"면서 외교적 해결을 촉구했다.

 

특히 중국 측에서도 '외교적 해결' 목소리가 나와 눈길을 끌었다. 장쥔(張軍) 유엔 주재 중국 대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회의에서 "관련국은 자제를 유지하고 긴장을 고조시키는 그 어떤 행동도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한다.

 

일각에선 우크라이나 침공에 반대하는 방향의 중국 내 중지가 모였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최근 대표적 반미 연대 진영으로 꼽히고 있는 러시아와 중국이 이번 사태를 놓고는 접점을 찾지 못한 채 평행선을 달릴 가능성이 제기된 것이다. 


북한의 우크라이나 상황 관련 공식 입장은 현재까지 관측되지 않았다. 북한은 반미, 반서방 기조 아래 중국,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 전략적 협조 강화를 강조해 오고 있는 상황이다.

 

우크라이나 상황 관련해선 지난 7일과 8일 북한과 러시아에서 각각 이뤄진 북러 차관급 협의에서도 논의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양측은 당시 협의에서 협력 강화를 언급한 바 있다.

 

다만 중국에서 미온적 반응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이 선명한 입장을 내긴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또 간접 주장을 펼치거나 관망 태도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 등이 오르내린다.

 

미국 시선이 우크라이나 쪽에 쏠린 시점에 북한이 군사 행보를 보일 가능성을 거론하는 이들도 있다. 반면 정세 변화를 주시하면서 3~4월께 전략적 행동에 나설 가능성에 주목하는 시선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