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당국은 코로나19 신속 유전자증폭(PCR) 검사 방식이 일반 PCR 검사와 큰 차이가 없다는 점을 들면서 오히려 정확도 면에서는 다소 낮다고 평가했다. 또 타액을 이용하는 검사 방식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못박았다.
김갑정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진단총괄팀장은 22일 오후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기자 설명회에서 "신속PCR은 유전자 증폭 시간이 짧은데 이 시간 외에 검체 접수, 핵산 추출, 결과 판독, 통보의 모든 과정이 일반 PCR과 동일하다"며 "실제 검사 시간 절감 효과는 대량 검체 처리 시에는 그렇게 크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김 진단총괄팀장은 "신속PCR은 유전자 증폭 시간을 단축해 정확성은 다소 낮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김 진단총괄팀장은 경기도 여주시에서 시행하려는 신속PCR 검사 수탁기관 인증 신청을 지연시키고 있다는 한 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며 "여주시에서 요청한 건 보건소 내 설치된 검사실에서 코로나19 검사 시행을 위한 정확성 평가를 해달라는 요청이었는데 역량 평가 2회를 실시했으나 아직은 역량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돼 추가 준비에 시일이 소요되고 있다"고 해명했다.
그는 "신속PCR 진단 시약은 식약처(식품의약품안전처)에 10개 정도 허가가 났고 약 60여개 기관이 사용하고 있다"며 "작년에 이동형 검사실 운영을 위한 지침을 마련해 검사 질 관리를 지원하는 역할을 했다. 현재 대전시, 인천공항검사실 등 검사기관으로 지정된 검사 전문 의료기관이 수행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코 속을 찌르는 비인두도말 검체 체취 방식 대신 침이나 가래를 활용하는 타액 검사에 대해 김 진단총괄팀장은 "타액 검사 시약은 식약처에서 정식 허가된 게 없어서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