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정부가 거리 두기 오는 21일부터 적용할 사회적 거리두기와 관련해 방역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요인을 종합해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두 달 넘게 이어져 온 거리두기로 인한 민생 피해를 감안해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으로 풀이된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16일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정례브리핑에서 "확진자 발생 규모나 위중증, 의료체계 여력 등과 같은 방역적 요인과 사회·경제적 피해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입장은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방역 강화 조치가 지속하면서 이로 인한 민생의 피해를 고려한 처사로 읽힌다.
앞서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김부겸 국무총리 역시 "두 달 넘게 계속된 방역강화 조치로 인해 누적된 민생경제 피해와 아직 정점을 알 수 없는 오미크론 확산세 등 방역상황을 함께 고려해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전파력에 비해 중증화율이 낮은 오미크론발 유행 확산에 대응해 의료체계 안정 시 거리두기를 강화하기보다 계절 독감처럼 대응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손 반장은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에 대해선 상반된 의견들도 있고 다양한 쟁점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여러 의견을 들으며 의사를 결정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오는 21일부터 적용될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 대책을 18일 발표한다. 이를 위해 17일 일상회복지원위원회를 열고 각계각층으로부터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현재 사적모임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관계없이 전국 6인까지만 가능하다. 식당과 카페 등 위험도가 높은 곳은 오후 9시까지만 운영할 수 있다. 방역패스는 학원과 독서실, 대형마트 등 소송이 진행 중인 시설을 제외하고 11종에 적용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