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디스커버리 환매 중단 사태에 장하성·김상조 투자 명단 포함

한지혜 기자  2022.02.10 13:29:06

기사프린트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의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와 관련해 장하원(63) 디스커버리자산운용 대표가 피의자 신분 조사를 받으면서 경찰 수사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특히 해당 펀드에 장 대표의 친형인 장하성 중국대사와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 등이 투자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불거진 특혜 의혹이 어떻게 매듭지어질지 주목된다.

10일 경찰 등에 따르면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전날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사기와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를 받고 있는 장 대표를 불러 조사했다.

이에 앞서 경찰은 지난해 7월 장 대표를 출국금지 조치하고 본사와 기업은행, 하나은행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해 관련 자료를 분석해왔다.

디스커버리 펀드 사태는 2019년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의 2562억원 규모 펀드가 미국 현지 자산운용사의 법정관리로 환매가 연기돼 발생한 대규모 투자자 피해 사건이다. 해당 펀드는 기업은행, 하나은행, 한국투자증권에서 수천억원이 팔렸다.

장 대표는 펀드가 부실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도 이를 숨긴 채 상품을 판매해 투자자들에게 피해를 입혔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장 대표는 장 대사의 친동생으로 2016년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을 설립했다.

경찰은 지난해 7월 디스커버리자산운용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투자자 리스트가 담긴 PC 파일을 확보했고, 이 파일에는 2017년 7월 장 대사 부부가 60억원을 펀드에 투자했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또 김 전 정책실장이 4억여원을 펀드에 투자하고, 장 대사가 교수로 재직했던 고려대의 교수들도 펀드 투자자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환매 중단 사태 피해자들 대다수가 만기 전에는 환매가 불가능한 '폐쇄형 펀드'에 투자한 데 반해, 투자자 명단에 담긴 이들은 만기 전에도 자유롭게 입·출금이 가능한 '개방형 펀드'에 투자했다고 한다.

당사자들은 펀드 가입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법 위반 사항이 없다는 취지로 특혜 의혹을 부인하고 있지만, 피해자 단체와 야권에서는 엄중 수사를 촉구하고 있어 수사 결론이 주목된다.

이 사건 피해자단체는 "피해자들은 4년이 넘게 거리에서 투쟁하고 있으나, 정부와 기업은행 등은 아랑곳하지 않고 있어 답답하다"며 강력 제재를 촉구했다.

경찰은 장 대사 등이 투자한 것으로 알려진 개방형 펀드 역시 손실이 있었는지 여부 등을 수사할 것으로 보인다. 펀드 규모가 장 대사가 청와대 정책실장으로 근무할 시기 증가한 배경 등도 확인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