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경찰이 사모운용사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의 대규모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와 관련해 장하원(63) 디스커버리운용 대표를 소환 조사했다.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9일 오전 9시40분께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와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를 받고 있는 장 대표를 불러 조사했다.
디스커버리 펀드 사태는 2019년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의 2562억원 규모 펀드가 미국 현지 자산운용사의 법정관리로 환매가 연기돼 발생한 대규모 투자자 피해 사건이다. 해당 펀드는 기업은행, 하나은행, 한국투자증권에서 수천억원이 팔렸다.
장 대표는 펀드가 부실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도 이를 숨긴 채 상품을 판매해 투자자들에게 피해를 입혔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장 대표는 장하성 중국대사의 친동생으로 2016년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을 설립했다.
경찰은 지난해 7월 디스커버리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투자자 리스트가 담긴 PC 파일을 확보했고, 이 파일에는 2017년 7월 장 대사 부부가 60억원을 펀드에 투자했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또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이 4억여원을 펀드에 투자하고, 장 대사가 교수로 재직했던 고려대의 교수들도 펀드 투자자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환매 중단 사태 피해자들 대다수가 만기 전에는 환매가 불가능한 '폐쇄형 펀드'에 투자한 데 반해, 투자자 명단에 담긴 이들은 만기 전에도 자유롭게 입·출금이 가능한 '개방형 펀드'에 투자했다고 한다.
이날 장 대표를 조사한 경찰은 조만간 수사를 마무리한 뒤 송치 여부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