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확진자 늘자 지자체들 업무마비 대책 마련 분주

한지혜 기자  2022.02.09 18:02:38

기사프린트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유행으로 국내 일일 확진자수가 하루가 다르게 증가하면서 이달 말에는 하루 17만명 넘는 확진자가 나올 수 있다는 방역당국의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각 지자체들도 직원들의 감염을 피할 수 없다고 보고 행정기능 마비를 막기 위해 비상인력운영방안 등이 포함된 업무연속성계획(BCP) 수립에 들어간 상태다.

9일 경기 남양주시 등 일선 지자체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오는 11일까지 전국 각 지자체에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대응한 BCP를 수립해 제출토록 했다.

BCP는 Business Continuity Plan의 약자로, 재난·재해나 장애 발생 시 업무 단절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한 사전 계획을 뜻한다.

남양주시의 경우 전날 확진자수가 처음으로 900명을 넘어서 국내 일일 확진자수가 17만명대로 늘어날 경우 하루 2000~3000명대 확진자 발생이 예상되고 있다.

하남시와 구리시도 전날 각각 437명과 293명의 확진자가 나와 이 추세라면 이달 말에는 1000명대로 확진자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일단 남양주시와 하남시는 이미 직원의 3분의 1을 재택근무로 돌리고 직원들에게 퇴근 후 사적모임 자제를 요청한 상태로, 업무 마비를 피하기 위해 부서별로 확진자 발생에 따른 업무 분담이나 조치계획을 제출받아 BCP를 수립하는 중이다.

하남시의 경우 BCP 수립에 앞서 지난달 말 이미 자체적으로 오미크론 확산에 대비한 대응계획을 수립해 시행하고 있는 상태로, 다수의 확진자 발생으로 부서나 팀이 마비되는 경우에 대비해 민원 등 주요업무의 예비담당자를 지정하고 필요시 지원인원을 파견하는 계획도 마련해뒀다.

구리시와 남양주시는 현재 각 부서별로 확진자 발생 상황에 대비한 조치 계획을 제출받아 BCP를 수립하고 있는 단계로, 부서별로 대체 인력 투입이나 사무실 이동 근무 등 다양한 방법들을 제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각 지자체 관계자들은 오미크론 변이 유행에 따른 확진 직원 증가를 기정사실로 보면서도 이로 인한 업무 마비에 대해서는 크게 걱정하지 않는 분위기다.

부득이한 경우 경증이나 무증상 확진 직원이 원격 근무시스템을 통해 업무를 지원할 수도 있고, 무엇보다 역학조사 간소화와 자가격리 대상 축소로 사무실 내에 확진자가 발생해도 어느 정도 업무 수행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하남시 관계자는 “오미크론 변이 유행에 대비해 지난달 자체 대응계획을 수립해 민원 업무 등 시민의 삶에 영향을 주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조치계획을 마련한 상태”라며 “그동안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재택근무 시스템이 잘 구축돼 확진자가 더 늘어도 행정 기능이 마비되는 일은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